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산의 저가양도 등과 관련된 간주기부금의 문제 (Deemed Donations by Low-Value Transf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8
29P 미리보기
자산의 저가양도 등과 관련된 간주기부금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23권 / 2호 / 149 ~ 177페이지
    · 저자명 : 신병진

    초록

    기부금단체가 아닌 자에게 자산의 저가양도 또는 고가매입이 이뤄진 경우 법인세법 시행령 제35조 제2호에 따라 비지정기부금으로서, 정당한 사유가 없다면 시가의 70%(고가매입의 경우 시가의 130%)와 양도가액의 차액만큼 기부금(간주기부금)으로 보고 손금불산입한다. 이에 대해 간주기부금이 법인세법 제24조 제1항의 기부금 개념에 포섭되지 않아 포괄위임금지원칙에 위배되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법인이 미계상한 손금을 부인하는 것에 대한 근거에 대해 종전 논의가 있으나, 판례․통설은 동 규정이 포괄위임금지원칙에 위배되지 않고, 이를 근거로 미계상 손금을 부인할 수 있다고 본다.
    간주기부금은 1974. 12. 31.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시 저가양도에 대해 최초로 규정되었으며, 일본 입법례를 참고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1979. 12. 31. 개정시 고가매입의 경우도 함께 규정할 때에는 부당행위계산 부인규정을 감안한 것으로 판단된다. 1981. 12. 31. 개정시 차액 중 실질적으로 증여한 것으로 인정되는 금액을 간주기부금으로 보되, 시가와의 차액이 아니라 정상가액(시가의 70% 또는 130%)과의 차액으로 현행과 유사하게 규정하였다. 개정 이유에 있어 매매형식을 이용한 실질적인 자산증여만을 규제토록 했다고 하며, 30%의 범위를 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문헌이 없으나 당시 상속세법상 저가양도시 증여간주제도의 기준을 참고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를 감안할 때 간주기부금에 대해 규제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일본의 기부금제도와 비교한 결과, 일본은 포괄적인 기부금 개념을 통해 저가양도를 일반 기부금으로 보되, 기업의 자본 또는 손익구조에 따라 일률적으로 허용 범위를 설정하고 있으며, 미국은 아예 세법상 기부금 제도의 규율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① 정당한 사유의 부존재, ② 시가와의 차액 30% 이하”라는 두 가지 개념징표를 통해 비지정기부금과 관련한 과세신고상 불확실성을 일부 완화시키고 있으나, 미국과 일본 제도에 비하면 납세자의 예측가능성 측면에서 미흡하다.
    손금부인의 근거로 먼저 조세회피행위를 들 수 있으나, 부당행위계산 부인과 달리 간주기부금은 조세회피행위로 볼 수 없다. 정책적 목적에서 기부금 과세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손금부인의 근거로 들 수 있으나, 이는 입증책임, 시가의 불확실성, 정당한 사유라는 불확정개념의 존재로 인해 자산양도와 관련한 조세제도의 중립성 측면에서 타당하지 않다. 자산의 무상양도에 따른 비지정기부금 과세 회피의 문제는 실질과세원칙으로 규율할 수 있다. 또한 정책적 목적에서 대리인 비용의 규제를 손금부인의 근거로 들 수 있으나, 접대비와 달리 국가의 경제 개입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고, 상법에 따라 이사의 책임 추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에, 현행 간주기부금제도는 그 합리성 내지 최소침해성이 없어 제도 존속의 타당성이 없다.
    결론적으로 간주기부금제도는 헌법 제119조 제2항에 따라 국가의 경제 개입이 정당화되지 않아 위헌성이 있으며, 정치․경제적 발전으로 과거 국가가 경제구조에 깊숙이 개입하여 후견자적 지위를 가졌던 권위주의시대를 탈피한 만큼 과거에 도입되었던 간주기부금 제도는 폐지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hen a corporation transfers any asset at a price below the arm's length price (70% of the fair market price) to a person unqualified as a charitable organization, or purchases any asset from such a person at a price above the arm's length price (130% of the fair market price)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price and the arm's length price in each case is recognized as an actual donation [Article 35 (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Decree”)]. Such a donation (“Deemed donation”), not prescribed in the Korean tax law, is not included in necessary expenses.
    Since deemed donations cannot be categorized as donations in terms of Article 24 (1) of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Act”), there have been debate over whether the concept of deemed donations violates The Void-for Vagueness Doctrine. The grounds for Court's denial of inappropriate cost, were also subject to controversy. However, the Supreme Court and the majority of professionals affirm the validity of the presidential decree article on deemed donations.
    A provision on Deemed Donations by low-value transfer was first adopted in the Decree amendment of December 31 1974. It is speculated that the Japanese legislation was influential for this amendment. By the Decree amendment of December 31 1979, it was decided that high-price purchase shall also be regulated as Deemed Donations, and it is seems that the provision of arm’s length principle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here. The consequent Decree amendment of December 31, 1981 provided that only the amount of substantial contribution within the difference amount is to regarded as Deemed donation, the difference amount being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m's length value (70% or 130% of fair market value) and the actual price. The reason for the amendment was to restrict only the substantial asset contributions in the form of transfer transaction. As for the reason for setting the range at 30%, no specific document is available, but it is possible that inheritance tax law was of reference. Overall, it appears that Deemed Donations are dealt with iin the regulatrory framework.
    Meanwhile. the Japanese tax law adopts a comprehensive donation concept which allows classification of Deemed donations as general donations, and sets the allowable range according to the corporation's capital or profit structure. US tax law excludes Deemed donations from the regulatory framework altogether. When compared to US and Japanese tax laws, the cost of taxpayers' compliance is higher in Korea, although Korea has mitigated some of the uncertainties related to unspecified donations by employing the two concept notions of "① non-existence of legitimate cause and ② difference of 30% or less between the market value and actual price".
    The reason for denial deduction can be divided into tax avoidance and policy purpose. It is unreasonable to regulate Deemed donation as a subject matter of the tax law since Deemed donations cannot be regarded as tax avoidance, unlike related party transaction. Although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ibution taxation system may be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benefit of the policy, it is not feasible in terms of the neutrality of the taxation system due to the existence of burden of proof, uncertainty of market value. The problem of non-qualified donation tax avoidance due to free transfer of assets can be regulated by Substance over Form Doctrine. In addition, regulation of agency costs can be cited for policy purposes, but unlike entertainment expenses, the legitimacy of the country's economic intervention can not be recognized.
    Considering the facts that State intervention in national economy is difficult to justify under Article 119,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much development in Korean politics and economy since the adoption of Deemed donation regulations, it would be appropriate to abolish Deemed donation regulations at the presen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