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중등미술교사들의 한국화 체험학습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raditional Painting Courses for the Pre-service Art Teacher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5
48P 미리보기
예비중등미술교사들의 한국화 체험학습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 / 61권 / 1 ~ 48페이지
    · 저자명 : 박소영

    초록

    본 연구는 2018년도 1학기에 서울 소재 K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실행된 한국화 체험학습의 수업내용을 다룬 사례연구이다. 수업은 크게 장봉인 전통 모필을 다룰 수 있는 필법을 익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수묵으로 난초와 대나무를 그리기, 전통수묵화로 그려진 산수화를 전이모사 하는 학습, 전통회화 전시회를 관람한 후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한 학기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실행하였다. 수업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수업에서 학생들은 지, 필, 연, 묵의 전통회화재료의 물성적 특성을 창작체험을 통해 '몸으로 생각하기'를 할 수 있었다. 둘째, 사군자와 산수화는 수묵으로 그릴 수 있는 대표적인 장르이다. 따라서 수묵화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난초와 대나무 그리기와 산수화를 준법을 사용하여 그려보는 체험을 하였다. 이는 루트번스타인의 생각의 도구 중 ‘추상화’와 ‘관찰’의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셋째, 전통회화 감상과 함께 병행된 수묵화를 그리는 체험은 미술교과에서의 감상활동과 표현활동이 통합되는 수업으로 더 깊이 있게 수묵화의 내재적 가치를 배울 수 있었다. 이는 창조적 사고를 위한 통합적 이해로 논의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case study intended to pedagogically interpret the contents of Korean painting lectures for the pre-service art teach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Korea during the first term of 2018. Starting with mastering the method of grabbing and moving a brush, the course curriculum included painting orchid and bamboo with ink, using ‘Jun bup’(texture stroke) for recreating a landscape in the traditional ink painting and writing a report after appreciating a traditional art exhibition. Here are the results. First, through the experience of creative making, the students (the pre-service art teachers) were able to do ‘body thinking' about the characters of materiality in four traditional painting tools as paper, brush, inkstick and inkstone. Second, the representative genres of ink painting are The Four Gracious Plants(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and landscape painting. So in the course of ink painting, the activities of drawing orchid, bamboo and landscape by using texture stroke were included. This could be discussed in the view of ‘Abstracting’ and ‘Observing’ among Root-Bernstein's tools of thinking. Third, with appreciating the traditional paintings, the experience of drawing the traditional painting could make the students deeply understand the internal value of ink painting because both the appreciation and representing activities were integrated in the art courses. This could be discussed as integrated understanding for creative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