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컴퓨터등사용사기죄와 편의시설부정이용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Fraud and Improper Use ofConvenience Faciliti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5.02
26P 미리보기
컴퓨터등사용사기죄와 편의시설부정이용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6권 / 1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구길모

    초록

    대상판례는 셀프세차장에서 결제시스템 하단 카드보관함에 들어있는 충전용 세차카드를 절취한 후, 셀프세차장에 설치된 세차기 결제시스템 단말기에 절취한 세차카드를 갖다 대어 세차요금을 결제한 사안이다. 1심법원은 셀프세차장 장비는 유료, 대가성이라는 표지를 갖추고 있어 유료자동설비에 해당하고, 컴퓨터등사용사기죄의 컴퓨터등정보처리장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그 논거로 편의시설부정이용죄가 사문화되는 것을 막는다는 논거도 제시하였다. 그러나 편의시설부정이용죄가 컴퓨터의 보편화에 따라 많은 편의시설에서 사용됨에 따라 사문화되는 것을 막는다는 해석논거는 옳지 못하다. 특히 이에 따라 처벌의 흠결이 발생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1심법원은 편의시설과 컴퓨터를 택일관계로 해석하였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객체가 재산상의 이익인 경우, 즉 이득죄에 있어서 편의시설부정이용죄가 컴퓨터등사용사기죄의 보충관계에 있다고 보아야 하고, 이에 따를 때 대상판례 사안의 경우에는 컴퓨터등사용사기죄가 인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셀프세차기가 컴퓨터등 정보처리장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유료자동설비로서 편의시설부정이용죄가 검토되어야 할 것인데, 타인의 세차카드를 이용한 경우는 부당하게 대가를 지급하지 않은 것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하고, 이러한 취지에 반하는 대법원의 기존 입장은 변경되어야 한다.
    무인설비는 현재에도 많고,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다. 공유시대, AI 시대에 이러한 흐름은 당연하다. 이러한 시대변화에 따른 새로운 영역에 대하여 기존 구성요건을 통하여 범죄를 적절히 통제에 둘 수 있는 해석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case in question involves a situation where an individual stole a car wash card from a storage compartment at a self-service car wash payment system and used the stolen card to pay for a car wash service by placing it on the payment terminal of the car wash machine. The first-instance court ruled that the equipment at the self-service car wash was a paid facility, with a clear indication of its commercial nature, and thus fell under the category of paid automatic devices, but did not fall under the scope of “computers or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for the purpose of computer fraud. The court also argued that interpreting this as preventing the obsolescence of the crime of improper use of convenience facilities was a valid reasoning.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crime of improper use of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preserved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computers and the increasing presence of such facilities is not correct. Particularly, if this interpretation leads to a gap in the punishment, it becomes even more problematic. The first-instance court incorrectly interpreted convenience facilities and computers as an either-or relationship, but this is a mistaken view. If the object constitutes a property benefi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crime of obtaining benefits, the crime of improper use of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supplementary to the crime of computer fraud, and in the case of the precedent in question, the charge of computer fraud can be applied.
    Furthermore, even if the self-service car wash machine is not considered a computer or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e crime of improper use of paid automatic equipment should still be considered. If a person uses another’s car wash card without paying for the service, this can be seen as unlawfully receiving a service without compensating for it. The Supreme Court’s existing stance on this issue, which contradicts this interpretation, should be revised.
    Unmanned facilities are widespread now and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s trend is natural in the era of shared resources and AI. As these changes unfold, there is a need for a legal interpretation that can properly regulate crimes within the new scope using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