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탁금지법 연구 - 금품 등의 수수금지를 중심으로 - (Law on the Prohibition of the Offer and the Granting of Benefit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9
38P 미리보기
청탁금지법 연구 - 금품 등의 수수금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19권 / 3호 / 129 ~ 166페이지
    · 저자명 : 정혜욱

    초록

    청탁금지법상의 금품수수 금지의 입법 타당성과 합리적 해석기준을 검토해 본 결과 일단 전체적인 틀에서 입법의 취지를 이해할 수 있으며 법규의 내용도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른다.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해서 부당한 이익을 제공하는 행위는 공무원이라는 직업이 생겨나고 화폐경제가 발달하면서 있게 된 현상이다.
    생산업무에 종사하는 대신 외적 방어와 국가의 재화를 분배하고 생산을 조정하는 등의 정책결정과 집행이라는 직무만 수행하는 공무원이라는 직책은 그 자체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의미하였고 다른 사람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이러한 공무원에게 상품거래의 결제수단이자 가치저장수단인 금전을 지급하고 원하는 정책결정과 집행을 이끌어 내는 일은 비용 대비 수익이 매우 높은 거래가 된다.
    따라서 이를 규제하지 않으면 국가의 정책결정과 집행은 모두 거래의 대상이 되어 그야말로 돈이 지배하는 세상이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국가라는 공동체의 규범질서에 대한 신뢰가 붕괴되고 그에 따라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힘들어지면서 그 공동체는 사멸하게 될 것이다. 부패범죄를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국가가 강하다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뇌물수수를 금지하는 법규가 우리나라에도 이미 오래 전부터 존재하였다. 우리나라가 반만년의 역사를 이어올 수 있었던 것도 상당부분 이 규범질서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뇌물죄 처벌규정은 직무관련성과 대가성 두 가지를 모두 입증해야 적용이 가능하다. 공무원을 매수하고 싶은 사람도 매수 당하고 싶은 공무원도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꼭 필요하지만 금지되어 있으면 그 규제를 피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마련이다. 인간은 뛰어난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 공무원을 평소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 두는 것이다. 어떠한 부탁도 하지 않으면서 그저 친해지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공무원은 자연스럽게 그 친한 사람에게 유리한 정책결정과 집행을 하게 된다. 직무관련성은 몰라도 대가성을 입증하기가 난감해 진다.
    실제로 세상이 그렇게 돌아가자 청탁금지법이 제정되었다. 그 입법취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형벌권 행사는 보충성의 원칙에 위배되어 곤란하다. 형벌권 행사의 한계를 적정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공무원의 경우 금품수수 자체를 형사처벌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금품수수 이후에 이익 제공자와 관련된 직무를 집행하였음을 객관적 처벌조건으로 추가하게 되면 합리적인 해결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청탁금지법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에는 금품수수가 금지되지 않는다고 하고 있다. 이 예외조항은 구성요건 조각사유가 아닌 위법성 조각사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구성요건 요소로 보게 되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되어 명백한 위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예외조항의 핵심인 사회상규 위배 여부에 대한 해석은 기존의 사교적 의례의 범위와 관련된 판례의 경향에 일치하게 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해석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청탁금지법 시행령이 그 기준을 음식물 3만원, 부조 10만원 그리고 선물 5만원으로 정하고 있는데 합리적인 규정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교적 의례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공무원이나 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음식물, 부조 또는 선물이라는 이익 제공은 금지되는 행위가 아니라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 welfare whether the content of the law on the prohibition of offering and granting of benefits is appropriate for our society. Bribery is an ac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profession of the official and the monetary economy.
    The official as a professional means that the holder of this profession has a higher social position. The officials do not need to do any work that produces something material. They are to be the officials only for the defense and distribution of the goods civilians produce.
    The official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ppointment of officials. They determine the state policy. That's why bribery is a big gain. The Inkomm is always bigger than output.
    In this context, all state policy would be the subject of trade in bribery. For this reason, a strict regulation on bribery is necessary. Otherwise the money would dominate the company and its dependents. That would break the social order. The state successful in the fight against bribery lasts longer than the unsuccessful state.
    Korea has long held the bribery prohibiting law. It would be a reason for Korea to maintain a 5,000 year history. The bribery can be punished only if the relationship with the service and the existence of the benefit is proved. It is well known thing.
    If something is very useful but forbidden, make a detour. One makes frequent contacts a close relationship with officials without seeming special reasons. There is no request. The official, who is closely connected with someone in this way, provides something advantageous for his acquaintance.
    The law on the prohibition of offering and granting benefits has a purpose to prevent this detour. But the law should not be applied stric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