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준점유 등으로서 어업권의 이용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Use of Fishery Right as a Quasi-Possession, etc.)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3.03
42P 미리보기
준점유 등으로서 어업권의 이용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48권 / 1호 / 195 ~ 236페이지
    · 저자명 : 임종선

    초록

    어업권은 권리로서 준점유이며, 어업권에 의해 매개되는 대상인 수면으로서의 어장과 대상품종인 수산동식물 및 시설물에 대해 점유의 행사형태를 보이고 있다. 우리 민법 제210조에서 “본장의 규정은 재산권의 사실상 행사하는 경우에 준용한다”고 규정하여, 준점유에 대해 인정하고 있다. 우리 민법은 물건에 대해서는 점유를 그리고 권리 또는 재산권에 대해서는 준점유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민법 제192조에서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를 점유라고 정의하여 준점유와는 다른 의미로서, 물건과 재산 및 사실상의 지배와 사실상의 행사의 개념으로 서로 대칭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준점유의 요건은 재산권의 사실상의 행사와 대상으로서의 재산권이 존재하여야 한다.
    어업권은 취득은 어업권의 이전, 어업권원부에의 등록, 행정관청의 면허 등을 그 요건으로 하므로, 특정인에게 귀속된다는 사실상의 지배의 외관이 존재한다. 그리고 수산업법 제16조 제2항에서 어업권을 물권으로 하며, 토지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명시하고 있어서, 준점유의 대상인 재산권의 일종으로 파악한다. 권리 또는 재산권의 사실상의 행사인 준점유가 되는 것이다.
    어업권이라는 권리의 성질에 비추어 준점유의 행사에 대해 점유의 종류에 따라서 개별적, 구체적으로 그 준용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어업권에 있어서 어장, 수산동식물, 어구, 시설물, 공작물 등은 직접점유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어업권의 대상이 되는 수면인 어장의 대부분이 공유수면이고, 타인지배를 금지하며(수산업법 제32조), 어업 경영의 사실상 지배(수산업법 제35조의 4)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수산업법에서는 질권 금지, 임대차 금지, 유치권 금지, 지상권 부정, 지역권 부정하여 간접점유를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자주점유와 단독점유 공동점유의 태양을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어업권에 의한 점유권의 취득은 점유보호청구권ㆍ자력구제 또는 정당방위 등의 점유보호가 지속적으로 정당히 행사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Fishery Right can use of Quasi-Possession. Fishery right is exerted in the form of possession regarding its subjects - fishing ground in terms of water surface, and its related varieties – marine animals and plants and facilities. Article 220 of the Civil Act prescribed that “...shall apply in the event that property right is effectively exerted”. This means the law recognizes quasi-possession. Korea’s Civil Act applies the idea of occupation over objects, and quasi-possession over rights or property rights. Article 192 of the Civil Act stated that “effective control over an object” is possession, differentiating the idea of quasi-possession by contrasting objects versus property and effective control and effective exertion. A necessary conditions of quasi-possession are the existence of effective exertion of property rights and the existence of the property right itself.
    Fishery right acquisition requires fishery right transfer, registration with fishery-right original register, licence by administrative body, etc. These form exterior appearance of effective control that belong to a specific person. And Article 16(2) of the Fisheries Act specified that fishery right is a real right and subject to regulations on land. Therefore fishery right is viewed to be the subject of quasi-possession, that is, a kind of property rights. Rights or property rights’ effective exertion equals to quasi-possession in this case.
    Fishery right needs to be examined for its application more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about the exertion of quasi-possession according to the kinds of possession. In fishery rights, subjects of direct occupation include fishing ground, marine animals and plants, fishing gear, facilities, and structures. And also most of fishing ground or water surface – the subject of fishery right is public water surface where control by other is prohibited (Article 32 of the Fisheries Act) and fishing industry operators’ effective control is allowed (Article 35-4 of the Fisheries Act). Since the Fisheries Act does not recognize the right of pledge, lease, and lien, while denying superficies, and easement, derivative possession cannot use. The Act recognizes hostile possession, single possession and common possession. Consequentially, acquiring possessory right based on fishery right can ensure continued protection of ccupied protection claim, self-control or self-defense in a due man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