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법상 주식등의 평가원칙과 지배주식등의 할증평가에 관한 연구 (Rules for the Valuation of Stock in the Aspect of Taxation and Control Premium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09.09
38P 미리보기
세법상 주식등의 평가원칙과 지배주식등의 할증평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집 / 14권 / 1호 / 105 ~ 142페이지
    · 저자명 : 한만수

    초록

    소득세, 법인세 및 상속세및증여세의 과세목적상 주식등의 가격결정이 요구되는 경우로서 객관적인 ‘시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속세및증여세법상의 평가방법에 따라 가격을 결정하는 체계를 갖고 있다. 특히 상장주식의 평가가액은 그 자체가 ‘시가’로 인정된다. 따라서 상속세및증여세법상의 주식등의 평가에 관한 규정은 제반 조세의 부과목적상 ‘기본 조항’이라고 할 수 있다. 주식등의 평가가액의 결정 원칙은 주식등의 상장 여하에 따라 다르다. 주권상장법인이나 코스닥상장법인의 주식등은 평가기준일 이전․이후 각 2월 간에 공표된 매일의 최종시세가액의 평균액에 의해 평가함을 원칙으로 하고, 비상장주식등은 1주당 순손익가치와 순자산가치를 일정 비율로 가중평균한 가액에 의해 평가함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준비하는 법인의 주식등은 일반적 평가방법에 의하여 평가한 가액과 공모가격 중 큰 가액으로 한다. 한편, 평가대상 주식등이 지배주식등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평가액에 100분의 20(중소기업의 경우에는 100분의 10)을 가산하되, 최대주주등이 당해 법인의 발행주식 총수등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여 보유하는 경우에는 100분의 30(중소기업의 경우에는 100분의 15)을 가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지배권 가치의 존부나 그 가액을 달리하는 많은 경우의 수를 모두 동일하고도 획일적으로 취급하는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규정은 구체적 타당성이 심하게 결여되어 있다. 첫째, 지배주식등의 양이 50%를 초과하는 경우와 그 이하인 경우로 이분하여 전자의 경우에는 30%를, 후자의 경우에는 20%를 할증하는 것은 그 이론적 정당성을 찾기 어렵다. 둘째, 일률적으로 모든 특수관계자 소유의 주식을 합산하여 지배주식에의 해당여부를 획일적으로 결정하는 제도도 그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셋째, ‘시가’에 의해 지배주식등의 가격을 결정하는 경우에도 할증평가를 적용하는 것은 이중 할증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넷째, 지배주주등이 소유하는 지배주식등 중 그 자체만으로는 지배주식등에 해당하지 않는 일부만을 떼어 양도하거나 증여하는 경우에도 할증평가를 적용하는 것은 지배권 가치의 반영이라는 가격할증의 본질에 반하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경험적 수치에 기초함이 없이 정한 지배주식등의 가격의 할증율은 현실적 근거를 결여하고 있다. 지배주식등의 가격할증에 관한 이러한 다양한 문제들을 회사의 경영권 가치에 관한 경영학적 측면에서의 실증적 연구와 접목하여 하루빨리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case where the fair market price of the shares are not ascertainable for the purpose of imposing income tax or inheritance and gift tax, the value of the shares is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provided for in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ITGTL”). Especially, the assessed value of the listed shares is, as such, regarded as the fair market price. Therefore, the provisions of the ITGTL concerning the valuation of the shares may be called as ‘basic rule provisions’ for the purpose of taxing on the transfer of the shares. The rule on the valuation of the shares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the shares are listed or not. The assessment value of the shares of the corporation listed in Korea Exchange or KOSDAQ shall be determined, in principle, by averaging the final quotation price of each trade day which extends from two months before the assessment date to two months after the assessment date, and the assessment value of the shares of the unlisted corporation shall be determined by weighted-averaging the net asset value per share and net profit value per share of the issuing corporation. The assessment value of the shares of the corporation in the midst of preparing listing in Korea Exchange or KOSDAQ shall be the larger of the valu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assessment rule or the public offering price. On the other hand, when assessing the value of the shares in accordance with these rules, the shares owned by the shareholder(s) in control of the corporation(“controlling shares”) shall be assessed at a premium by 20%(10%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size corporation). The premium rate shall be increased to 30%(15%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size corporation) if the ratio of controlling shares to the total outstanding shares exceeds 50%. However, this premium rule lacks in equity and reasonableness in that the rule treats all the same the controlling shares of any and all corporations although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control premium or its quantity differs depending on the specific situations where the issuing corporation is. First, it is not justifiable to differentiate the case in which the quantity of controlling shares are 50% or less and the case it exceeds 50%. Second, it is not reasonable to sum up all the shares owned by specially related persons in determining whether a certain shares are included in ‘controlling shares’ or not. Third, it will be the duplicate application of premium rule to add a premium to the arm’s length price of shares at which the shares are acquired. Fourth, it is contrary to the morale of the premium rule intending to reflect ‘control value’ of the controlling shares to add a premium to the value of the shares that has been a part of controlling shares on the part of the transferor but no longer constitute ‘controlling shares’ on the part of transferee. Fifth, the premium rate being applied under the current rule is not based on the empirical figures, and therefore can not convince taxpayers in no respect. It seems to be imperative to resolve these problems with the help of corroborative research on the value of corporate control from the aspect of corporate accounting.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