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祝詞(のりと)․宣命(せんみょう)의 助詞 「ト(止/等/登)」 (Postposition of the Orders of the King and Greetings「ト(止/等/登)」)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5.02
19P 미리보기
祝詞(のりと)․宣命(せんみょう)의 助詞 「ト(止/等/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文化學報 / 104호 / 267 ~ 285페이지
    · 저자명 : 이지수

    초록

    「宣命書(せんみょうがき)」で記録された「祝詞(のりと)」「宣命(せんみょう)」での仮名「止/等/登」は 助詞「ト」の特定內容を指示、共同対立の対象、動作の結果、比較標準の提示、動作作用の重畳、同意の「~トシテ」などの様々な格助詞の用法や少数の並列助詞用法などによって仮名「止/等/登」で用字された。日本上代文献から仮名「止/等/登」は名詞表記「鳥/鷄(とり);登理/苔利/等利(トリ)」、形容詞表記「形状言;等保(トホ)․ク活用形;登保志呂之(トホシロシ)/等保久(トホク)/登抱吉(トホキ)․シク活用形;登富登富斯(トホドホシ)」、動詞表記「飛/翔(とぶ);登夫/等夫/得夫(トブ)/等妣/等弭(トビ)」と助詞「ト」の表記などで多様に用字された。仮名「止」は「宣命書(せんみょうがき)」で一番多く使われており、それは「祝詞(のりと)」と「宣命(せんみょう)」が祭司長や天皇の命令を伝言の形で伝える文章という性格に起因したと判断される。また、仮名「止」は訓仮名から由来したという点が特徴的である。仮名「等」は「宣命(せんみょう)」で仮名「止」と「ト」の表記に用字され、「推古朝遺文」と「郷歌」で多く用例されており、韓半島との関連可能性を想定することができる仮名である。仮名「登」は「祝詞(のりと)」で仮名「止」と比較的に対等な頻度で「ト」の表記に用字され、「推古朝遺文」と「郷歌」「原物宣命」では用例されてない。

    영어초록

    In Senmyōgaki (宣命書) scripts, which record Norito (祝詞, Shinto rituals) and Senmyō (宣命, imperial edicts), the kana characters 「止/等/登」 are used to represent the particle 「ト」. These characters serve various grammatical functions, such as indicating specific content, showing an object of joint opposition, expressing the result of an action, presenting a standard of comparison, indicating the overlapping of actions, and functioning as a conjunctive particle in the form of agreement (e.g.,「~トシテ」). Among these, the kana 「止」 appears most frequently in Senmyōgaki scripts,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nature of Norito and Senmyō as texts that convey the orders of a chief priest or the emperor in a transcribed form. Additionally, the kana 「止」 is distinctive for its origin in kun-kana (訓假名, phonetic characters based on Japanese readings). The kana 「等」 is also used for the particle 「ト」 in Senmyō and frequently appears in texts such as Suiko-chō Ibun (推古朝遺文) and Kanka (鄕歌), suggesting a possible connection with the Korean Peninsula. The kana 「登」, which is used with a frequency relatively equal to that of 「止」 in Norito, does not appear in Suiko-chō Ibun, Kanka, or Genbutsu Senmyō (原物宣命).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文化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