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剪燈新話』를 통해 본 「李生窺墻傳」의 서사적 공간 구성 (Formation of the narrative space of 「Isaeng-gyujangjeon(李生墻墻傳)」 through 『Jeondeungsinhwa(剪燈新話)』)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8.12
22P 미리보기
『剪燈新話』를 통해 본 「李生窺墻傳」의 서사적 공간 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77호 / 171 ~ 192페이지
    · 저자명 : 신상필

    초록

    15세기 『전등신화』의 탄생과 동아시아적 호응이라는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탄생하였다. 하지만 그 존재는 『전등신화』와는 달리 한동안 잊혔었고, 근대에 접어들어 崔南善에 의해 1927년 잡지 『啓明』 19호에 그것도 일본의 간본을 통해 소개됨으로써 소설사의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금오신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다양한 관점과 의견들을 기반으로 삼으면서, 특히 「李生窺墻傳」에 구현된 공간에 대한 측면을 통해 새로운 시야를 확보해 보고자 한다. 사실 「이생규장전」의 여주인공인 崔娘의 등장과 그가 차지한 공간은 매우 독특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관심은 구현된 漢詩를 통한 작자의 심리 파악이나, 작품에 그려진 전통 공간으로서의 원림 의경을 비교하는 데 그치곤 하였다.
    최랑이 거처하는 공간 자체는 물론 그 공간에 배치된 그림과 한시의 존재는 조선전기의 문화적 동향과 심미 지향을 반영하고 있다. 더구나 이와 같은 현상은 중국 詩畫史의 흐름과 함께 이해할 때 성리학적 유가지식인이자 방외인으로서의 삶을 지낸 김시습 소설의 구성과 주제 의식에 보다 심미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예상한 주제에 다가선다면 한국한문학의 다양한 양상들이 단순히 문학 자체에 그치지 않고 한중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상호 영향을 통해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점에서 향후 사회문화 방면 전공자들의 학제 간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he 15th century, the birth of 『Jeondeungsinhwa(剪燈新話)』 and the birth of 『Geum-osinhwa(金鰲新話)』 in the cultural history background of East Asian response was born. However, the existence was forgotten for a while, unlike the 『Jeondeungsinhwa(剪燈新話)』, and in the 1927 magazine <Gyemyeong(啓明)> No. 19, a Japanese novel was introduced by Choi Nam-sun, which made it a valuable asset of novels. based on various perspectives and opinions of previous researches on 『Geum-osinhwa(金鰲新話)』, we try to secure a new view through the aspect of space embodied in 「Isaeng-gyujangjeon(李生墻墻傳)」. In fact, the appearance of Choi rang[崔娘], the mistress of the past, and the space he occupied is very unique. However, my interest in this was that I tried to compare the author's psycholog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embodied Chinese poetry and to compare the scenery of the forest as a traditional space drawn on the works.
    The space itself, as well as the space in which it is located, reflects the specific trends and aesthetic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Moreover,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be more aesthetically attuned to the composition and theme consciousness of the Kim Siseub novel, which is a scholarly, intellectual, and out-sider living in understanding with the flow of Chinese poetry. It is expected that the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Chinese Literature will be developed not only from literature itself but also from mutual influences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f this study reaches the expected topic. From this point of view, we hope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ll be activated for those majoring in social and cultural studi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