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듯’ 속담류의 구조적 특성 (A study on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deut’(-듯) type proverb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4.09
26P 미리보기
‘듯’ 속담류의 구조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의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어 의미학 / 45권 / 159 ~ 184페이지
    · 저자명 : 노명희

    초록

    This paper considered the essential properties of proverbs focussing on ‘-deut’(-듯) type proverbs. These proverbs are deviant from the typical proverbs because they don’t take the quotation form. Typical proverbs have the property of being mentioned in the sentence, but ‘-deut’ type is used as a constituent in the sentence. Furthermore ‘-deut’ type do not make a complete utterance and perform a specific speech act unlike typical proverbs. But they can be transformed into nominalized ‘-gi’(-기) type proverbs and the complementation construction ‘-neun/-eun gyeok’(-는/은 격) type which are typical proverb constructions. In these respects, ‘-deut’ type can be included into the realm of proverbs. Only those which are typical proverbs can have all the proverbial properties. So proverbs can be defined by the concept of family resemblance.
    The 95 percent of ‘-deut’ proverbs which are listed in the Pyojun Dictionary are Verbal stem+‘deut’ type(ex. 개미 금탑 모으듯) and only 5 percent of them are Verbal past adnominal form+‘deut’ type(ex. 사흘에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듯). The former type represents the set of atemporal actions and can’t be replaced with ‘eun/neun deut’ types. And the deletion of case markers is actively exploited to conform the prosodic harmony. The latter depicts the state of completed actions and have a variation with ‘eun/neun deut’ types to some degree. When it comes to the following predicates, the former is realized into Verbal stem+‘deut ha-n-da’(ex. 강태공이 세월 낚듯 한다). In this construction, ‘deut’ represents figurative meanings and ‘ha-n-da’ functions as a pro-verb. The latter adnominal ‘deut’ type is realized into ‘eun deut-ha-da’ types(ex. 사흘에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듯하다) where ‘deut ha-da’ is an auxiliary adjective having a meaning of supposition.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ed the essential properties of proverbs focussing on ‘-deut’(-듯) type proverbs. These proverbs are deviant from the typical proverbs because they don’t take the quotation form. Typical proverbs have the property of being mentioned in the sentence, but ‘-deut’ type is used as a constituent in the sentence. Furthermore ‘-deut’ type do not make a complete utterance and perform a specific speech act unlike typical proverbs. But they can be transformed into nominalized ‘-gi’(-기) type proverbs and the complementation construction ‘-neun/-eun gyeok’(-는/은 격) type which are typical proverb constructions. In these respects, ‘-deut’ type can be included into the realm of proverbs. Only those which are typical proverbs can have all the proverbial properties. So proverbs can be defined by the concept of family resemblance.
    The 95 percent of ‘-deut’ proverbs which are listed in the Pyojun Dictionary are Verbal stem+‘deut’ type(ex. 개미 금탑 모으듯) and only 5 percent of them are Verbal past adnominal form+‘deut’ type(ex. 사흘에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듯). The former type represents the set of atemporal actions and can’t be replaced with ‘eun/neun deut’ types. And the deletion of case markers is actively exploited to conform the prosodic harmony. The latter depicts the state of completed actions and have a variation with ‘eun/neun deut’ types to some degree. When it comes to the following predicates, the former is realized into Verbal stem+‘deut ha-n-da’(ex. 강태공이 세월 낚듯 한다). In this construction, ‘deut’ represents figurative meanings and ‘ha-n-da’ functions as a pro-verb. The latter adnominal ‘deut’ type is realized into ‘eun deut-ha-da’ types(ex. 사흘에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듯하다) where ‘deut ha-da’ is an auxiliary adjective having a meaning of sup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 의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