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중년후기의 나이듦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생애과정 맥락을 중심으로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ved Aging Experience in the Late Middle Age in Korea -Focused on the Context of Life Cours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한국 중년후기의 나이듦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생애과정 맥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질적탐구 / 9권 / 2호 / 59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신영, 하영윤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중년후기가 체험하는 나이듦 현상을 이해하고자 이루어졌다. 나이듦과 관련된 삶의 경험을 그 세대가 가지고 있는 생애과정 맥락에서 살펴보고, 그 경험의 구조를 밝혀 본질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중년후기(55-64세) 성인 여성 8명, 남성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절차에 따라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60개의 중심 의미, 42개의 주제가 드러났고, 도출된 1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낯설게 다가오는 늙어가는 몸>, <끝까지 붙잡고 싶은 건강>, <책임과 역할로 순응해온 자리>, <척박한 땅에 깊게 뿌리내리지 못함>, <언제나 내 앞에 있는 외면할 수 없는 자식>, <늘 그리운 어머니 품 속 같은 곳을 찾음>, <굴곡을 헤치고 이제야 한 자리에 만난 부부>, <선택과 도전으로 되찾아 가는 내 좌표>, <매 순간 드러나는 몸에 밴 순응의 삶>, <상처로 정지된 순간들>, <역할로 묶였던 나의 시간 봉인 해제>, <일방적으로 강요된 역할>, <끊을 수 없는 탯줄>, <시대와 일에 빼앗긴 관계의 조각들>, <끈끈하고 질긴 가족의 힘>, <잊히기 싫은 나의 존재>. 이상의 본질적 주제를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실존체인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 관계성으로 나누어 의미 구조를 이해하였다. 본 연구는 나이듦이라는 보편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을 중년후기가 가진 시대적, 사회적 맥락 안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맥락에 따른 보다 체계적인 관점에서 중년후기의 나이듦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은 중년후기가 노년기 삶을 맞이하는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령화 사회로 노년의 삶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이해는 새로운 노인 세대의 건강한 노화 준비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과 사회 정책적 방안을 이끄는 실천적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ging process that late middle-aged Koreans experience. The essential meaning of aging was explored by observing life experiences related to aging in the context of their generation and studying the structure of these experiences. Eight women and eight men living in Korea in their late middle age (55-64 years old)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process. As a result, 60 core meanings and 42 themes were observed, including 16 essential themes: <aging body that they are unfamiliar with>, <health they want to hold onto until the end>, <places they have adapted as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barren land that they have not been deeply rooted in>, <child that they cannot turn away from>, <a place like a mother’s arm that they have found>, <a couple who have just met in one place after going through ups and downs>, <directional coordinates that they reclaim through choices and challenges>, <the life of conformity that has become their second nature>, <moments paused by their past wounds>, <personal time that was restricted by their roles but now they regain>, <roles that have been forced on them unilaterally>, <umbilical cord that is unbreakable>, <the fragments of relationship lost by times and work>, <family bond that is strong and tough>, <personal existence that they do not want to be forgotte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previous 16 essential themes was understood by dividing them into van Manen’s four lifeworld existentials: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human rel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d the universal and personal aging process through the historical and societal context that late middle-aged Koreans share. Exploring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ging in late middle age from a more systematic and contextual perspective is expected to be an essential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late middle age. As the importance of elderly life is increasing due to an aging society, such understanding of aging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and social policies that aid the preparation of healthy aging for the new and growing elderly po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