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흥 <창세가>에 보이는 성속(聖俗)의 넘나듦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the Hamheung Shamanic Genesis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2.02
22P 미리보기
함흥 &lt;창세가&gt;에 보이는 성속(聖俗)의 넘나듦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4호 / 127 ~ 148페이지
    · 저자명 : 신연우

    초록

    본고는 함흥 <창세가>의 마지막 부분을 중심으로하여 전체 신화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신화 전체의 구조 속에서 그 의미를 보다 보편적인 신화적 의미를 찾는 연구가 되고자 한다. 흔히 창세가의 본령을 이루는 미륵과 세계의 기원, 석가와의 인세차지 경쟁이 논의의 중점을 이루지만 이 마지막 부분을 고려하면 이 신화의 의미가 더욱 새로운 의미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인간 세상을 마련해준 미륵이 사악한 석가로 인해 이 세상을 떠나버렸다. 이 신화를 미륵이 떠난 세상에서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는 신화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서양 기독교의 창세기 <에덴동산> 이야기의 주제와 동일하다. 그것은 (1) 성스러운 공간인 미륵의 세상/ 에덴동산 (2) 사악한 석가/ 뱀의 유혹 (3) 미륵이 떠난 세계/ 신으로부터 에덴에서 추방 이라는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聖의 세계를 잃어버리고 俗의 세계로 추방되는 구성으로 된 이야기이다. 둘 다 인간은 성의 세계를 알고 있지만 속의 세계에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라는 점이 드러나는 신화이다.
    결말은 삼천 중 중에 둘이 화식을 거부하고 성인 되겠다고 떠나는 것이다. 이 둘은 다시 미륵의 세계, 성스러운 세계를 회복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성의 세계는 사실은 인간이 살 수는 없다. 인간은 자연 그대로의 세계에서 살 수는 없다. 모든 사람이 중처럼 살 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그러나 그 세계를 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두 명의 중이 상징한다.
    인간은 동물에서 나왔지만 여전히 동물의 한 종이다. 우리는 언제고 동물로 다시 돌아갈 수도 있다. 저 하늘, 저 성의 세계에 대한 지향을 망각하지 않아야 동물과 신의 중간 상태인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하는 듯하다.
    일상을 벗어나 산으로 가서 하루를 자연과 함께 보내는 화전놀이는, 미륵이 알려준 성의 세계와 미륵이 떠나버린 속의 세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속의 세계를 사는 것이 보통 사람들의 삶이지만 현실만으로는 삶의 무의미함에 빠지고 만다. 화전놀이는 성의 세계를 환기하고 우리가 성의 세계를 잊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하는 의례의 기능을 한다. 성과 속이 대조적이지만 배타적이 아니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속의 세계 속에 성의 가능성은 열려 있으며 이 성의 가치를 망각하지 않고 사는 것이 인간다운 삶의 길임을 말하고 있는 신화임을 해명했다.

    영어초록

    I would like to re-examine the meaning of the entire myth focusing on the last part of Hamheung <Changsega>. Considering this last part, I think the meaning of this myth can be more new.
    Maitreya, who prepared the human world, have gone because of the evil Buddha. This myth can be understood as a myth that raises the question of how humans should live in a world where Maitreya has left. This is the same as the story of Genesis' Garden in Western Christianity. It consists of three stages: (1) the world of Maitreya/ Garden of Eden, (2) the temptation of evil sakyamuni/Snake, (3) the world where Maitreya has left/the exile of Eden. In other words, the story consists of losing the world of the sacred and being deported to the world of the profane. Both are myths that reveal that humans know the world of the sacred, but have to live in the world of the inside.
    The ending is that two out of three thousand refuse to eat and leave to become saints. The two want to restore Maitreya's world, the holy world again. The two want to restore Maitreya's world, the holy world again. But the world of the sacred can't actually be inhabited by humans in it. Not everyone can live like a monk. But two of them symbolize that the world of the sacred should not be forgotten.
    Hwajeon Nori, which goes out of its daily life and goes to the mountains to spend the day with nature,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the world of sacred that Maitreuk taught and the world of profane which Maitre has left. Hwajeon nori serves as a ritual to evoke the world of sacred and confirm ourselves that we live without forgetting the world of sacred. I explained that living without forgetting the value of this sacred is a myth that tells us the way of human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