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용관련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인식과 만족도 (The Majo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 of Department of Dance and Practical Dance)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0.08
13P 미리보기
무용관련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인식과 만족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41호 / 1145 ~ 1157페이지
    · 저자명 : 이화석, 위성식, 박정희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무용학과 및 실용무용학과의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전공에 대한 인식정도와 전공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적연구방법인 설문지를 통한 조사 분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연구자의 연구 환경과 한계를 고려하여 2009년 현재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대학교 중 무용학과와 실용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개 지역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생들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표본은 유층집락 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였으며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6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인 설문지의 구성은 송유진(1995)의 무용학과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 조사연구와 박기선(2003)의 무용전공 대학생의 취업인식도 및 교과과정 조사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만족도에 관한 설문 문항은 모두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자가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에 의하여 서술토록 하였으며, 246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ver 12.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를 기준으로 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무용관련학과에 지원하게 된 동기로 근본적으로 ‘춤이 좋아서’라고 답한 경우가 136명 55.3%로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무용이론과 학문적 능력 배양’에서도 44명 17.9%의 결과를 보여 무용관련전공생들은 학과 선택에 있어서 뚜렷한 동기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 전체 246명 중 학과에 대한 총체적인 만족정도를 질문한 결과 ‘만족하지 않는다’는 26명 10.6%, ‘만족한다’는 92명 37.2%로 비교적 긍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애매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그저 그렇다’의 답변이 120명, 48.8%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5개 하위변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3학년이 대부분의 영역에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여 만족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2학년이 대부분의 영역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진로와 취업, 학습평가에 있어서는 졸업을 앞둔 4학년이 가장 만족감이 낮은 집단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전공별에 따른 학과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지원동기에 있어서 전공별에 따른 유의한(p= .511)차이는 없었으며 학과만족에 대한 만족정도에서는 유의확률이 .000로 p<.001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무용(M=3.73)이 가장 만족감이 큰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실용무용전공(M=2.82)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각 전공영역에 따른 전공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하위변인별 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유의확률이 .005로 p<.01수준에서 현대무용(M=3.26)이 가장 만족감이 큰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실용무용집단(M=2.88)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로와 취업, 학교환경, 학습평가 등에서 한국무용 집단이 가장 만족감이 큰 집단으로 나타났고 실용무용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교 내 또는 사회에서 인식하는 무용학과인지도에서는 유의확률이 .71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학과에 대한 인식 또는 만족정도가 전공분야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상관계수가 .43, 유의확률이 .000으로 상호 관련성이 있으며 R2 의 값이 .181로 학과만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p<.001의 수준에서 P -value 가 .000으로 상호간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어초록

    The study enforced research analysis study for investigate of major perception degree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 of department of dance and practical dance.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by 246 dance major student who while in college 4 local university established student of department of dance and practical dance in 2009 present.
    Data processing used to SPSS(ver 12.0) as follows that make standard p<.05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investigate question of major perception degree that were ‘satisfaction’ was 26, 10.6%, ‘not satisfaction’ was 92, 37.2% positive results appeared comparatively. But then ‘not so bad’ come out to be higher(120, 48.8%) then other answers. Second, five subvariables of major satisfaction by grade that showed difference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but ‘careers and employment’, ‘learning evaluation’ were confirmed lowest group 4 grade of have gradate ahead.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department perception by major, ‘applicant motive’ not showed difference of significance(p=.511) statistically in ‘major’ but ‘department satisfaction’ (p=.000) showed difference between group p<.0001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Korean dance’ group(M=3.73) appeared the best satisfaction rate group on the other hand ‘practical dance’ group(M=2.82) appeared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group Four, the results of analysis department satisfaction by major, ‘Korean dance’ group appeared the best satisfaction rate group on the other hand ‘practical dance’ group appeared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group in ‘careers and employment’, ‘college environment’ ‘learning evaluation’ variables. ‘department of dance perception rate’ in college or society’ not showed difference of significance(p=.718) statistically.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to the effect of influence matched up to major satisfaction by department of dance perception rate or satisfaction, it have relativity between variable correlation coefficient .43, significance probability .000 also, the explanatory power(R2)was 18.1 percents that influenced(P-value .000) to major satisfaction by department satisfaction at p<.0001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