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생들의 길 안내에 나타난 공간어 분석 (Analyzing Spatial Terms Us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viding Direction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9
14P 미리보기
초등학생들의 길 안내에 나타난 공간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 / 56권 / 3호 / 87 ~ 100페이지
    · 저자명 : 조 수 진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공간능력 함양을 지향하는 초등지리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길 안내 상황 속에서 어린이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어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학년 어린이 총 2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논의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성인 4명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또한 ‘학교 정문에서 ○○플라자까지 가는 길 안내’ 과제를 기본으로 제시하되, 상대적으로 거리가 더 멀고 경로가 복잡한 ‘○○도서관까지의 길 안내’ 과제를 추가로 제시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지리학계, 국어학계의 공간어 관련 논의들을 참고하여 설정한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되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들은 방향을 지시할 때 왼쪽(좌), 오른쪽(우)이라는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용어의 사용 빈도가 고학년 군에서는 성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3학년 어린이 1명이 ‘동쪽으로’라는 절대적 방위와 관련된 표현을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한 것은 아니었으며, 성인이라고 해서 길 안내 시 절대적 방위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었다. 셋째, 길 안내는 청자가 특정 목적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가다’라는 동사가 기본적으로 많이 쓰였다. 특히 본 연구의 경우 화자와 청자 간의 시점이 일치함에 따라 ‘오다’라는 동사는 거의 쓰이지 않았다. 넷째, ‘돌다(꺾다)’라는 용어는 남자 어린이들의 사용 빈도가 높고 ‘올라가다, 내려가다’라는 용어는 여자 어린이들의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이는 함께 사용하는 공간명사와도 관련이 깊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거리를 표현하는 공간형용사는 어린이들의 길 안내에서 사용되지 않았으나 ‘바로, 계속, 많이, 조금, 더, 몇 발자국’ 등의 용어를 통해 나름대로 거리를 표현하고 있었다. 반면 성인들은 ‘( )m’ ,‘( )블록’ 등의 구체적인 거리 표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어린이들과 큰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쭉’이라는 단어는 본래 공간적 의미를 지닌 부사는 아니지만 어린이들과 성인들에게서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어린이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어의 범주 및 사용 맥락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 데에 본 연구의 가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patial terms commonly used by children in providing directions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them. The study selected 24 student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between grades 3 and 6. To expand discussion, four adults were evaluated additionally. The basic task was to provide direction such as ‘from the main gate of the school to the OO plaza’. An additional task was to provide direction such as ‘from the main gate of the school to the OO library’, that is more complex and farth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criteria, based on previous discussion regarding spatial terms in geographic and Korean language academies.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 First, children used left and right most frequently to provide direction and frequent use of these term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in grades 5 and 6. Second, only one child in grade 3 used the absolute bearing term (i.e., east) but the child used it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its meaning. Adults did not use the absolute bearing term, either. Third, subjects mainly used the verb ‘go’ because providing direction assumes a listener will travel to a specific destination.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verb ‘come’ was rarely used because a speaker and a listener had the same perspective. Fourth, the boys used the term ‘turn’ more frequently than the girls, while the girls used the term ‘go up/go down’ more frequently than the boys. It may be highly related to spatial nouns used in providing direction. Fifth, children described distance by using other terms such as ‘just, continue, a lot, a little, more, and a few more steps’ instead of spatial adjectives. Conversely, adul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children expressing distance by using specific distance expressions such as ‘meters and blocks'. Last, the word ‘straight’ was frequently used by adults as well as childre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range and context of commonly used children’s spatial te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