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Variabl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3.06
31P 미리보기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10권 / 2호 / 62 ~ 92페이지
    · 저자명 : 김정신, 박인숙

    초록

    최근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교육을 둘러싼 주요쟁점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서구사회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사교육, 교육과정개발, 교수방법, 문화교육 등을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집약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자세, 관점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 민감한 영향력을 받는 시기이다. 타인을 탐색하는데 인종, 민족성, 사회적 계층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편견과 고정관념은 이 후 유아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기 다문화교육은 매우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다문화교육 실천의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통합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 동시에 다문화교사교육 관련 교육과정운영 및 연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효과를 미치는 요인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연구수행을 위해 적용된 연구도구로서 다문화 소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문화적 맥락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정서적 준비상태로 Mitchell(2009)의 연구도구가 채택되었다. 또한 다문화교육내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nnett(2007)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설문지가 채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내용 지식과 교과교육지식의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Guyton과 Wesche(2005)의 일반생활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다문화교육 실천의지는 윤현숙(2008). 이명희, 홍순옥(2009)의 다문화교육 실천에 관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다문화교육 실천의지 척도 250부를 배부하여 2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AMOS 1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그 문화와 교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즐기려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갈등상황이 발생해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천의지를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이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문화적 차이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정서가 준비되면 교사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을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학습자료 등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클수록 다문화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실천의지를 가지게 되며 유아들에게도 적합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의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다문화교육의 실용성이 부각되고 있어 다문화 교육은 유아기부터 체계적으로 실시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의지 및 자질을 확인하는 일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도출해낸 결론은 다름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실천의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소양을 고양시키기 위한 노력이 가장 절실하다는 결론이 본 연구에서도 밝혀졌듯이 교사들은 이를 위해 다문화상황을 인지하도록 노력하고 타인의 생각이나 견해에 대해 의식적으로 개방하며 타문화의 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교사는 학습자의 배경에 민감해야하고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과정이나 교실수업에서 문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자신의 학급을 보다 통합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에게 다문화소양과 교수의 실천의지를 육성하는 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게 될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에 대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올바른개념을 쌓음으로서 이해하려고 시도하며 그들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긍정적 태도는 다문화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사는 유아를 문화적 존재로 인정하고 그들이 가진 서로 다른 문화를 민감하게 인식함으로써 유아들이 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교수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래집단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배경’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인들 즉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육 실천의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시대에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대한 이론적.실제적인 이해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교사교육과정에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major issues surrou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bout the mulcultural approach to, have been issuing.
    Especially, in Western society that emphasizes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35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Secon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Thir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For date collection 250 copi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al related variables scale were widely distributed targeting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23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offer basic data to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the teacher curriculum for pre-and in-service teachers.
    In our society, cultural diversity and practicality become commonplac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ble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when conducted systematically from infa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esirable in order to confirm a commitment to multiculturalism, and the qualities of the subject of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this end, this paper di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efforts to promote literac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most urg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urns as teachers for multicultural situation trying to think of others and other open consciously or opin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ccurately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e. In other words, teachers should be sensitive to the learner's background, and the recognition that this diversity can be questioned in the curriculum or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ir classroom to create a more integrated and professor of multicultural literacy to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to foster a commitment to accountability will need to perform.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imself will be responsible for infants with a variety of backgrounds, constantly tries to study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s laying on their learning and life needs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hird, the teacher's positive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keenly aware of the different cultures, and they have recognized the cultural presence of the infant so that they can learn it effectively planning and teaching activities should practice and understand the different cultural values in you will need to create that can be one of the 'background'In summary, this study was able to verify the proposed variables,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fecting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ese specific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is required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