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04
20P 미리보기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3권 / 2호 / 405 ~ 424페이지
    · 저자명 : 오필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의 특징을 밝히고,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표상할 수 있는 개념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내가 2011년 1학기에 서울 소재의 한 대학원에서 진행한 질적 연구에 관한 강좌를 수강하는 총 20명의 현직 또는 예비 교사들이었다. 이들은 대학원 수업 중에 본 논문과 동일한 연구 주제를 가지고 질적 연구 실습을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그것을 포토폴리오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포트폴리오와 나의 현장 일지를 함께 읽으면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주된 분석 작업이 되었다. 그 결과, 과학 수업은 모종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며, 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들이 매우 다양하고 그들 사이에는 갈등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좋은’ 과학 수업을 정의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다종다양한 가치들이 수업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관계 맺어지기 때문에 과학 수업은 본질적으로 부단한 가치 선택의 과정을 수반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이렇듯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여러 개의 진동면을 가진 ‘푸코 진자’에 비유하여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이 과학 교사 교육과 과학 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이야기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and to find a concept that can represent the way the teachers think. Participants were twenty pre- and in-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graduate course. I taught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the first semester, 2011. The participating teachers collected and analyzed a variety of data and created portfolios while they were training, as part of the course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ith the same research questions as those of this study. In the current study, the process in which the teachers and I found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was narratively reconstructed based on the teachers’ portfolios and my field notes. It was revealed that science teaching was perceived as a task aiming at realizing some kind of values and that because the teachers pursued various values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there exist conflicting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lues, it was hard to define ‘good’ science teaching. It was also discussed that science instruction was inherently accompanied with the ongoing process of selecting values a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lues were ever-changing within the contexts of the classroom. This multi-faceted and dynamic structure of th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was conceptualized analogically as ‘Foucault’s pendulum,’ which has multiple planes of oscillation.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