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래 국어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양상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Teachers on Future Korean Language Classe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12
24P 미리보기
미래 국어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4권 / 4호 / 191 ~ 214페이지
    · 저자명 : 최선희, 김금내, 이관희

    초록

    본고는 근미래의 국어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현재를 기점으로 국어교육의 미래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래 국어 교실 및 수업의 변화’와 ‘변화 대응을 위한 교사 역량’에 대한 교사 50명의 인식 기술지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전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인공지능’, ‘교육 도구’, ‘교육 내용’, ‘역량’, ‘교과서’, ‘교육과정’ 등의 키워드에집중되었다. 키워드 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군집화한 결과 ‘인공지능 중심의 교육 도구 변화’, ‘상호작용 중심의 교육 환경 변화’, ‘역량 중심의 교육 내용 및 방법 변화’, ‘학습자 선택 중심의 교수⋅학습 자료 및 평가 변화’가 핵심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후자의 범주에서는 ‘활용, 교육 도구, 학습자, 노력, 이해’ 등의 키워드가 유의미하게 뽑혔고, 군집화 결과는 ‘새로운 교육 도구 활용을 위한 노력’, ‘교육과정 및 텍스트의 재구성 능력’, ‘교육 내용 및 방법의 학습자 중심적 이해’, ‘변화된 교육 환경에대한 적응’으로 범주화되었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교육 공학적 도구가 미래의 초등 국어 교실에서 차지하는 무게에 초점을 두어 변화상을 예측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재편되는 문식 환경 내에서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목소리를 포착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변화하는 국어교육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의지를 보이면서도 국어 교과의 항존적 가치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 요소에 대한 언급도 부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적 양상의타개를 위해 미래 국어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들을 전망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위한 교사 주도성이 요구된다. 본고는 초등 교사의 시선에서 미래의 국어교육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현재와 앞으로의 대응을 타진하여 교사의 탈전문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uture respon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future Korean language classes. To this end, 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hange in future Korean language classrooms and classes” and “teacher competency to respond to change” were analyzed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In the category of “change in future Korean language classrooms and classes,” teachers’ perceptions were focused on keywor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al tools,” “educational content,” “competence,” “textbooks,” and “curriculum.” Based on similarities between keyword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change in artificial intelligence–oriented educational tools,” “change in the interaction-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in competency-oriented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and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centered on learner selection.” Keywords such as “utilization,” “educational tools,” “learners,” “efforts,” and “understanding” were significantly extracted in the category of “teacher competency to respond to change.” The following related clustering results were obtained: “efforts to utilize new educational tools,” “ability to reconstruct curriculum and text,” “learner-centere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and “adaptation to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were strongly inclined to predict changes by focusing on educational engineering tools center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futur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rooms. However, how the goals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hanged within the reorganized literacy environment was challenging to determine. Further, although teachers asserted their willingness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to respond to the chang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they did not discuss the enduring valu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ways to realize it. To overcome this challenge, teachers should drive the internal dynamics of Korean language classes while actively responding to external changes that affect future cla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dicts chan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and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overcoming teachers’ despecialization by exploring the current and future responses to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