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양명학자들의 『大學』 해석에 대한 시론 (A Basic Study on the Japanese Yangming Scholars’ Interpretation of Daxu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일본 양명학자들의 『大學』 해석에 대한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63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최재목

    초록

    이 논문은 일본양명학자들의 『대학(大學)』해석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세 일본에서『대학』에 대한 관심은 에도시대 초기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의 『대학요략(大學要略)』 을 지은 이래, 양명학자들에서도 『대학(大學)』해석은 꾸준히 이어진다. 예컨대 나카에 토쥬(中江藤樹)의 『대학고(大學考)』 ㆍ 『대학몽주(大學蒙註)』 ㆍ 『대학해(大學解)』 ㆍ 『대학고본전해(古本大學全解)』, 구마자와 반잔(熊澤蕃山)의『대학혹문(大學或問)』, 미와 싯사이(三輪執齋)의 『대학속해(大學俗解)』, 오시오 츄사이(大鹽中齋)의『대학고본괄목(大學古本刮目)』, 사토 잇사이(佐藤一斎)의『대학일가사언(大學一家私言)』ㆍ『대학적설(大學摘說)』ㆍ『대학고본방석(大學古本傍釋)』 등이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양명학에서는 『대학』 특히 왕양명의 『고본대학』에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 양명학자들은『대학』 의 삼강령ㆍ팔조목 해석을 통하여 유학의 본령인 수기치인에 대해 일본적 특수성을 기반으로 학술적 입장을 표현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대학』 자체의 해석에서 그치지 않고, 왕양명 『고본대학』의 서지적 연구에도 관심이 높았을 살필 수 있었다. 향후 일본사상사에서 특색을 발휘하는 ‘고학(古學)’의 흐름과 일본 양명학자들의 고본대학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접속되는지는 주목해볼 대목이라 생각한다. 둘째, 나카에 토쥬에서 시작하여 오시오 츄사이에 이르는 『대학』 해석 및 왕양명의 『고본대학』에 대한 서지적 관심은 동아시아 양명학을 고려할 경우 중국 및 한국에서 보이지 않는 매우 두드러진 특징으로 앞으로 동아시아 양명학의 전개를 시야에 넣어 연구할 필요성이 보인다. 셋째, 왕양명의 『대학』 해석에 필수적인 자료인 『전습록』의 해석에 대해서도 일본의 양명학자들은 관심을 기울였고, 그 성과는 당시의 동아시아 양명학계에서도 획기적인 성과라 할만하다. 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연구가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미와 싯사이의 『표주전습록』, 사토 잇사이의 『전습록난외서』는 추후 번역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general the interpretation of Daxue by Japanese Yangming scholars.
    In modern Japan, interest in Daxue in modern Japan is shown in Daigakuyorak (大學要略) by Fujiwara Seika(藤原惺窩) in the early Edo period. Since then, the interpretation of Daxue has been steadily continued steadily even among Yangming scholars in Japan. Examples are as follows: Nakae Toju(中江藤樹)’s Daigakuko (大學考), Daigakumochu (大學蒙註), Daigakukai (大學解), Kohondaigakuzenkai (古本大學全解), Kumazawa Banzan’s Daigakuwakumon (大學或問), Miwa Shissai(三輪執齋)’s Daigakuzokukai (大學俗解), Oshio Chusai(大鹽中齋)’s Daigakukohonkatsumoku (大學古本刮目), Sato Issai(佐藤一斎)’s Daigakuikkasigen (大學一家私言), Daigakutekisetsu (大學摘說), Daigakukohonhosyaku (大學古本傍釋) and etc.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study :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high interest in Daxue, especially Kohondaigakuzenkai (古本大學全解) by Wang Yangming in Japan. It can be seen that Japanese Yangming scholars have expressed their academic position based on the Japanese specificity on Xiujizhiren(修己治人), the original spirit of Confucianism,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hree principles(三綱領) and eight items(八條目) of the Daxue.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Wang Yangming was also interested in bibliographical studies of Kohondaigaku (古本大學), not just in the interpretation of Daxue itself. I think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how the flow of Kokugaku(古學) is connected with each other.
    Second, as a very prominent feature, there have been the bibliographical interest in the interpretation of Kohondaigaku, from Nakae Toju to Oshio Chusai and the bibliographic interest in Kohondaigaku by Wang Yangming, not seen in China and Korea when considering East Asian Yangming Studies. It seems necessary to put into the field of view and study.
    Third, Japanese Yangming scholars also paid atten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Chuanxilu (傳習錄), which is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interpretation of Daxue by Wang Yangming, and the result is considered to be a groundbreaking achievement in the Yangming academic community in East Asia at the time. Objective evaluation and research on this should be further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particular, Miwa Sitsai’s Hyochudenshulok (標註傳習錄) and Satou Issai’s Denshulokrankaisho (傳習錄欄外書) need to be translated later in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