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신세대들의 저항적 온라인 참여 연구 (Understanding On-line Resistance Discourse of Post-80’s Generation in Chin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06
39P 미리보기
중국 신세대들의 저항적 온라인 참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33권 / 2호 / 209 ~ 247페이지
    · 저자명 : 초보군, 양은경

    초록

    중국에서 전통미디어가 여전히 정부의 엄격한 관리 아래 있고 정부를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미디어는 신세대들이 자신들의 지식과 기술들을 발휘하여 자유화 의지를 펼치고 다양한 자아정체성의 형식들을모색하는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온라인 미디어의 주요 이용자로서 중국의 신세대는 사회주의 하의 경제적 자유주의 정책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 근대화의 후기 단계에서 중국식 개인화 과정의 산물로 볼 수 있다. 국가가 다양한삶의 안전망들에 대한 책임을 시장과 개인에게 넘기면서 신세대는 상시적인 고용의 불안정 조건들 속에 놓여있고, 이는 현실 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이들의인식을 더욱 첨예하게 하고, 중국 정부에 대한 불만과 저항 정서를 키우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시나 웨이보의 담론분석 결과, 네티즌들은 부정부패 공무원들과 공권력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와 공무원, 공권력을 자신들과 대립하는 진영으로 묘사하고 강한 적대감을 드러낸다. 이들은 자신들을 핍박받는 대중들로 규정하지만, 다시 일반대중들과 구별해서 스스로를 뛰어난 능력을 가진 정부의 감시자로서 주체화하고 권능감을 표출하기도 한다. 또한 신조어, 에둘러 말하기, 반어법, 욕설의 위장과 같이, 온라인 공간에서 정부의 검열망을우회하고 무력화시키면서 자신들의 틈새를 만들어나가는 담론전술들이 사용되었다.

    영어초록

    While traditional media in China is under the strict government restriction and play an advocate role for the government, online media is a place for young generation to utilize their knowledge and technology to seek for liberation will and various self-identities. China’s young generation who are the main users of online media can be seen as a result of Chinese way of individualization during post stage of China’s moderniz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market economy under socialism. The young generation are put under unstable employment when the country transfers the responsibility of social safety nets to the market and the individuals. This sharpens the recognition on inequality of the society and increases complaints and resistance against Chinese government. As a result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ina Weibo, netizens show hostility toward not only corrupted public affairs and government authority, but also Chinese government and public affair and polarized into opposing camps. While netizens express themselves as persecuted public, they are empowered by being surveillant of the dominant power, distinguished from the public and superior to them. Lastly, young generation try to avoid the government censorship and seek for an opportunity through various discursive tactics such as neologism, circumlocution, irony, and disguised swear w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