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생교육 현장실습생들의 현실충격 경험 연구 (The reality shock of pre-service lifelong educators during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4.12
28P 미리보기
평생교육 현장실습생들의 현실충격 경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30권 / 6호 / 813 ~ 840페이지
    · 저자명 : 권양이

    초록

    본 연구는 예비 평생교육사인 평생교육 현장실습생들이 경험하게 되는 현실충격의 본질을 포착하고 이를 완화하는방안 및 실습기관과 학교 당국의 대처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이들이 실제로 평생교육사로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잘적응하고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실습을 완료한 11명의 실습생과 2명의 실습담당자를대상으로 현실충격 경험에 대해 반 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하여 심층 면담하는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습생들의현실충격 경험을 실습담당자의 관점에서도 조망하여 현실충격의 본질을 포착한 것이다. 심층 면담자료 이외에 11명의연구대상자들이 실습기간 동안 작성하고 제출한 성찰일지, 실습 최종 평가회 발표자료, 관찰 노트 등을 분석자료에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평생교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서 이론과 실제는 크게 다르다는것을 경험하였다. 요구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만족도 조사에 불과하였다. 프로그램 역시 양은 많으나단편적이었고 고착화된 프로그램이 많았다는 점에서 이론과 현실과의 괴리를 느꼈다고 한다. 둘째, 참여자들은 큰비중을 차지하는 민원업무와 잡무 등 돌발적이고 야생적인 평생교육 현장을 경험하며 현실충격을 경험하고 소진을느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평생교육 현장실습은 이론수업에 경험할 수 없는 현장체험과 미래준비를 위한첫 걸음이었다라고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실충격완화 요소로서 의미 있는 실습, 동료 실습생들과 이야기하고의지하면서 실습할 수 있었다는 점, 실습담당자의 격려와 배려, 성인학습자를 도와주는 데서 오는 기쁨, 이들의 고마움표시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습기관과 학교 당국에 의미 있는 제언을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pre-service lifelong educators and seek ways to alleviate it and ways for the training institutions and university authorities to deal with it. Ultimately, it aims to prepare them to adapt well and solve problems when they enter the field as lifelong educator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reality shock, a qualitative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with 11 pre-service lifelong educators who had completed the practicum and two supervisors. The essence of reality shock was captured by exploring pre-service lifelong educators’ experiences of reality shock. In addition to the in-depth interview data, the analysis data included reflection journals, the final evaluation presentation materials written and submitted by the 11 participants during the practicum period, and field no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re is a distinct discrepancy between their expect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the realities they had experienced. Needs analysis was not conducted properly and was limited to a satisfaction survey. The programs were also large in quantity but fragmented, and many of them were fixed, which led to participants’ perceived gap between theory and reality. Seco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 reality shock and felt burnout as they experienced the sudden and wild lifelong education field, such as civil affairs and miscellaneous tasks, which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Nevertheless, they recognized the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importantly as the first step toward entering the profession that could not be experienced in classes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Third, as factors that alleviated their reality shock, perception of meaningful practicum, and the fact that they could practice while talking to and relying on colleagues under the encouragement and consideration of their supervisors, the joy derived from helping adult learners, as well as their expressions of gratitude were found to be positive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training institution and university authorities were addr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