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조선족의 선택과 조선인 간부들의 역할 - 조선족의 장편소설과 조선인 간부들의 회고록과의 대비를 통하여 (Chinese Koreans' Choice and the Korean Leaders' Function -By Comparison of Chinese Koreans' Novel and the Korean Leaders' Memoi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4
28P 미리보기
중국 조선족의 선택과 조선인 간부들의 역할 - 조선족의 장편소설과 조선인 간부들의 회고록과의 대비를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45호 / 285 ~ 312페이지
    · 저자명 : 이해영

    초록

    광복 직후, 중국에 잔류한 동북지역의 조선인이 중국의 한 소수민족인 조선족으로 편입되어가는 과정은 대단히 복잡한 과정이었으며 그 과정에 중국 조선인 간부들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중국공산당의 토지개혁정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았으며 토지개혁과정에 동북지역 조선인의 국적 문제와 같은 복잡한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조선인 간부들이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1960년대 중국 조선족의 간부이자 작가였던 리근전의 장편소설 『범바위』와 중국조선족의 제1임 주장이었던 주덕해의 평전, 중국 조선족이 배출한 걸출한 간부였던 조남기의 평전, 그리고 동시대 조선족 혁명가들의 회고록과의 대비를 통해 이 한 단락의 조선족의 역사과정에서 그들 조선인 간부들의 역할과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평전과 회고록에 나타난 이들 조선인 간부 계층의 선택과 역할은 주로 광복 직후, 조선인 청년들의 참군 과정과 조선인 마을들에서 진행된 기세 높은 토지개혁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부각되었다. 광복 직후, 조선인 청년들이 중국공산당의 군대인 팔로군에 적극 참군하게 된 동기는 “조선인 자신의 군대에 참군한다”는 것, “조국 조선을 해방하기 위한” 것, “조선인 간부들의 선전활동” 등에 의한 것이었다. 조선인 마을들에서 진행된 토지개혁 역시 민감하고 복잡한 조선인의 국적문제를 수반한 것이었으며, 당시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조선인의 이중국적을 허용하는 방안을 취함으로써 조선인 농민들이 비로소 토지를 분여 받을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인 간부들의 선택과 역할은 가히 결정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인 청년들의 참군과 조선인 마을들에서 진행된 토지개혁이라는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다룬 리근전의 장편소설 『범바위』에는 이러한 역사적 현실이 민족적 차원이 아닌 계급적 차원 일반의 범주로 해석되었으며 조선인 간부 계층의 선택과 역할이 극히 축소되어있다. 이러한 역사적 현실과 소설의 차이는 조선족의 위치와 조선인 간부들의 곤혹을 잘 보여준다. 그들에게 조선족은 소수민족간부로서 그들 자신의 지위가 중국에서 확립되고 인정받기 위한 존재 기반이자 이유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조선족이라는 출신은 또한 조선족 인민들 모두의 선택과 갈등을 해결하고 이끌어가야 하는 민족간부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부담스럽고 가끔은 곤혹스럽기도 한 문제였다.

    영어초록

    It is a very complicated process for the Koreans who remained in the Northeast of China to be turned into Chinese Koreans after the Recovery, in which the Korean leaders in China had taken a decisive role. However,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the Land Reform Polic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showed no concern about the Korean people's nationality problem and the Korean leaders' function to deal this problem in Land Reform. From this point, this thesis try to observe the Korean leaders function and their position in this historical process by doing comparative study on the novel Tiger Cliff whose author Lee Geun-jeon was a Chinese Korean writer and leader in 1960s, the biography of Ju Deok-hae who w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Yan Bian Korean autonomous region, the Biography of Jo Nam-gi who was an excellent Chinese Korean leader and the memoirs of the Chinese Korean revolutioners in that time.
    Korean leaders' choice and function in these biography and memoirs were mainly reflected during the process for Korean youths to join the army and the process of enthusiastic Land Reform in the Korean villages. After the Recovery, Korean youths joined the Eighth Route Arm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t the aim of joining the army of Korean themselves, liberating their motherland Korea and responding to the Korean leaders' propaganda. With Korean people's sensitive and complicated nationality problem during the Land Reform, the Korean peasants had to accept dual nationality to get the land share in that special historical situation. During this process, the Korean leaders played a decisive part. However, towards the same historical reality, Lee Geun-jeon's novel Tiger Cliff put it on the level of normal social class but not the national level and minimized the Korean leaders' choice and their function. This kind of differences between historical reality and novel might reflect Chinese Korean's position and the Korean leaders' perplexity. Being a Chinese Korean was the prerequisite for them to find and fix their position as a leader of ethnic minority, but as a Chinese Korean, they are required to help all the Chinese Koreans to do choice, which was a big burden and sometimes made them confu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