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곽지 사람들의 동물 이용에 대하여 (A Study of use of Animals by Kwakji people, in Jeju isla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7.08
27P 미리보기
제주 곽지 사람들의 동물 이용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110권 / 105 ~ 131페이지
    · 저자명 : 조태섭

    초록

    이 글은 제주도 곽지 패총에서 출토된 동물 뼈의 분석을 통하여 당시 사 람들의 동물 이용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먼저 종의 분류를 하여본 결과 사슴, 노루, 소, 돼지, 말, 개, 오소리 등 7종의 동물이 분류되었다. 이 가운데 출토 된 동물 뼈의 양과 출토 뼈대의 부위별 분포로 볼 때 당시 사람들이 주로 소 비, 해체 등을 한 짐승들은 사슴, 소, 돼지 등으로 볼 수 있고 다른 짐승들은 출토유물의 수가 매우 적고 머리 뼈대 부위만 나오기 때문에 소비된 것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존재했었을 가능성이 높다.
    최대뼈대수 분석에 있어서는 사슴의 뼈가 제일 많이 나오고 있어 사슴 사냥이 활발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곳 곽지 유적이 형성되었던 7-9 세기 에 이미 육지에서는 가축화된 짐승의 소비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이 점에 서 육지와 섬인 제주도와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육지에서는 이미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에 소비하는 동물자원들이 거의 대부분 가축화된 짐승이었기 때문 이다. 이것으로 볼 때 제주도에서는 육지보다 오랫동안 사냥에 의해 동물자 원을 수급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 유적에서 바다사자나 돌고래 등 해양 포유류들의 부재도 특기 만한 일이다. 선사시대에 섬이나 바닷가의 유적에서는 대부분 많이 찾아지는 이 바다짐승들이 보이지 않고 있다고 곽지 사람들이 바다자원을 이용하지 않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많은 조개와 굴등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 이다. 아무튼 이 점도 육지의 바닷가의 유적들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곽지 유적의 사람들은 짐승들을 도살하고 해체하는 과정에서 뼈에 여러 가지 자국들을 남겼다. 화석환경학에서는 자른자국(Cut marks)으로 불리는 이 흔적을 통해 우리는 당시 사람들의 짐승 해체와 도살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사슴의 경우 출토되는 사슴의 뿔 6점 모두에게서 날카로운 금속제 품(예: 칼)으로 잘린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의 경우에는 앞팔뼈, 손등 뼈, 발등뼈 등 다양한 부위에서 이와 같은 자른 자국을 가진 유물들을 관찰 할 수 있었다. 특히 자국의 깊이와 두께 그리고 모습으로 볼 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짐승의 뼈를 처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곽지 패총은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존재한다. 이글에서는 이 유적에서 발굴된 세 지점의 결과만을 가지고 논의가 이루어 진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조사와 발굴이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고 그렇 게 할 때 기원후 7-9세기에 이곳 곽지 패총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동물 이용 을 비롯한 삶의 양상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We analysed the animal remains from the Kwakji shellmidden site of Cheju Island and seven species of large mammals were identified. There are deer, row deer, cattle, pig, horse, dog and badger. With the exception of the badger, most of them are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human kind. In order to clarify this, it is shown that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keletal parts of the animals reveals that three animals (deer, cow and pig) were mainly consumed. On the other hand, horse and dog appear to have only a few bones of the head area, which may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consumption, such as keeping the house or carrying something.
    The quantity of bones excavated from this site (Number of Identified SPecimens) is the deer that has been counted mostly. However, considering that this deer is a wild animal, and it is difficult to be domesticated, Kwakji people had to rely on hunting for the use of animal resources. This is the difference with the historical sites of the inland at this time. In the sites of the inland, since the Bronze Age, deer dependence is very low and stable livestock (cows, pigs, etc.) become main animal resources.
    Also we noticed the absence of bone fossils in mammals living in the sea. In the archeological sites near the sea of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there are many bones of marine animals such as sea lions and whales, which are not found here. That does not mean that we have not used sea resources. Because many shellfish have been excavated although not mentioned in this article. More research and research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KwakJi people had left the traces on the bones of animal fossils during the butchering and dismembering. Through the taphonomic analysis of the bones , it was possible to identify cut marks on the deer and the cow, which were used to cut bones and horns and to slice flesh using knives and axes. These cut mar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thickness and depth.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various forms of butchering and dismembering of animals using the tools were carried out by Kwakji people.
    This KwakJi site is too large and Many parts remain unexplored. This study was made with only three small sites so far, so if more research is done in the future, we hope to find out more about the animal use patterns of the people who lived in Jeju Island about 7th and 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