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작은 아씨들’ 공연을 위한 뮤지컬 의상 제작 프로세스 (Production Process on Musical Stage Costume for ‘Little Wome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7.06
17P 미리보기
‘작은 아씨들’ 공연을 위한 뮤지컬 의상 제작 프로세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2호 / 163 ~ 179페이지
    · 저자명 : 노은영, 박은정

    초록

    본 연구는 뮤지컬 공연예술 작품을 중심으로 공연에 적합한 무대의상의 기획과 디자인의 제작과정을분석하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뮤지컬 의상디자이너의 역할과 무대의상 제작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실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는데 필요한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작품 분석과 무대의상의 기획과 디자인 및 실물 제작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정한 공연예술은 2015년 11월 19일에서 11월 22일까지 4일간 서경대학교 문예관 문예홀에서 공연된 올컷의 ‘작은 아씨들’이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성격과 주요 등장인물들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뮤지컬 공연의 원작을 분석하였다. 원작분석이 끝난 후 예술감독의 연출의도를 파악하여 뮤지컬 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였다. 둘째, 의상을 디자인할 때 극의 시대적 배경인 19세기중반, 공간적 배경인 미국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주와 뉴욕(New York), 극장의 규모를 고려한 연출감독의 의견 등을 반영하여 시대적 의상이지만 실루엣(Silhouette)의 크기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의상디자인 시 고려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여자 의상은 19세기 중반의 크리놀린 실루엣(Crinoline Silhouette)을 축소한 형태의 X형 실루엣을 기본으로하였다. 의상 아이템은 원피스 드레스, 셔츠블라우스, 스커트를 사용하였다. 남자 의상은 스트레이트 실루엣(Straight Silhouette)을 기본으로 하고 의상 아이템은셔츠, 팬츠, 베스트, 코트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색상은 딥톤과 덜톤의 웜 컬러를 사용하였다. 소재는 각상황에 맞는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해 면기모, 모직물, 스웨이드, 새틴, 자카드, 벨벳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인물에 따른 특성은 소재의 종류, 컬러로 구분할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실물제작을 통한 뮤지컬 공연에서의 사용과정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put forward stage costume planning & design production process suited for performance with the work of musical performing arts as the center.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is intending to provide basic data which could serve to understand a musical costume designer’s role,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costume, and c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industrial site.
    As regards the research range, this study set limits to musical work analysis, stage costume planning, and actual clothing making for musical performance. The performing art this study selected for this research is Louise May Alcott’s ‘Little Women’ which was put on stage at the Munye Hall of Seokyeong Universityaffiliated Munyegwon for four days from Nov. 19 to Nov. 22, 2015.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mbined a theoretical research with a positive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original work for musical performance to grasp the character of the work and major the characters’ role. After the analysis of the original work, this study did planning & designing of the musical costume by grasping the art director’s directing intention.
    Second, when doing costume design, this study conducted it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Silhouette size somewhat contrary to period costume by reflecting the mid-19th century marking the time setting of the musical, the State of Massachusetts, US, and New York marking the spatial setting of the musical, and the performance director’s opinion about the size of the theater, etc. The considerations in time of costume designing are as follows: As for woman’s costume, this study based it on X-shaped Silhouette in reduced form of the mid-19th century Crinoline silhouette. In addition ,this study used one-piece dress, shirts blouse, and skirt as a costume item. As for man’s costume, this study based it on Straight silhouette, and used shirts, pants, vest and coat as a costume item. As for the overall color, this study used warm color of a deep tone and dull tone. As for costume material, this study used brushed cotton, woolen fabrics, suede, jacquard, and velvet, etc. to express the characters in line with each circumstance.
    In additio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 consequent on each character by sorts of material and color.
    Third, this study disclosed the use process in actual clothing making, and musical perfor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