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립운동가들의 문집 현황 실태 고찰 (Research of the books of independence activists’ antholog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2.06
34P 미리보기
독립운동가들의 문집 현황 실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6권 / 279 ~ 312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초록

    본 논문은 2021년 2월 28일 현재까지 독립유공자로 지정된 16,410명 가운데 한문으로 문집을 남긴 현황의 실태를 고찰한 것이다. 그들의 문집을 고찰한 결과 총 233종의 문집이 확인되었다. 이는 전체 독립유공자의 1.41%에 불과한 것으로, 독립유공자들이 남긴 문집이 그만큼 희소가치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보다 완벽한 자료 검증이 어려웠던 이유는 국가보훈처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훈전자사료관의 독립유공자 공적 조서의 자료에 오류가 많이 발견되고,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저자 등에 대한 정보 또한 오류가 제법 발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기관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전체적으로 재정리를 하고, 문중에 필사본으로 소장하고 있는 자료까지 모두 발굴한다면 독립운동가들이 남긴 문집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확보될 것임에 틀림없다.
    독립운동가들의 남겨진 문집의 수는 권역별로 차이가 있다. 경상북도가 86종으로 가장 많고, 이어서 경상남도 31종, 전라남도 25종, 충청북도 21종, 전라북도 20종, 충청남도 19종, 경기도 11종, 강원도 9종, 평안북도와 황해도가 각각 3종, 서울이 2종, 함경남도와 함경북도가 각각 1종, 그리고 미상이 1종 순이다. 이는 본적을 기준으로 독립운동가들을 분류했을 때 경상북도 2,279명, 충청남도 1,455, 경기도 1,422, 경상남도 1,333, 전라남도 1,266, 평안북도 1,257, 전라북도 1,073, 평안남도 912명, 함경남도 773명, 황해도 699명, 강원도 656명, 충청북도 531명, 함경북도 437명, 서울 435명, 제주도 188명, 그밖에 세부적인 본적지는 확인되지 않고 출신지 道만 확인되는 황해도 32명, 평안도 13명, 경상도 5명, 충청도 4명, 함경도 2명을 다 합친다고 해도 본적지 인원수와 문집의 수가 비례하는 것이 아님이 확인되었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그동안 독립유공자들의 활약상에만 집중되던 연구가 독립운동가들이 남긴 문집을 통해 그들의 정신의 근간 및 문학적 역량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한 점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문집 현황의 실태를 고찰한 결과를 표로 제시해 연구자들에게 소개한 본 논문은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anthologies in Chinese characters among 16,410 persons of merit for independence as of February 28, 202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ir collections, a total of 233 types of collections were identified. This is only 1.41% of the total independence fighters, which means that the collections of writings left by the independence fighters are of that much scarce value. However, the reason that a more complete data verification was difficult is because there are a lot of errors in the data of the public records of people of independence merit provided b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refore, if the material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ions are rearranged as a whole and all the materials kept as manuscripts in the family are excavated, there is no doubt that the collections of literature left by the independence activists will be much more secured than now.
    The number of literature collections left by independence activists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Gyeongsangbuk-do has the most with 86 species, followed by Gyeongsangnam-do with 31 species, Jeollanam-do with 25 species, Chungcheongbuk-do with 21 species, Jeollabuk-do with 20 species, Chungcheongnam-do with 19 species, Gyeonggi-do with 11 species, Gangwon-do with 9 species, North Pyongan Province and Hwanghae-do with 3 species each, Seoul with 2 species and South and North Hamgyong Province each have one collection, and unknown is 1 colle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ndependence activists based on their birth records, Gyeongsangbuk -do 2,279, Chungcheongnam-do 1,455, Gyeonggi-do 1,422, Gyeongsangnam-do 1,333, Jeollanam-do 1,266, North Pyongan Province 1,257, Jeollabuk-do 1,073, South Pyongan Province 912, Hamgyeongnam-do 773, Hwanghae-do 699, Gangwon-do 656 , North Chungcheong Province 531 people, North Hamgyeong Province 437 people, Seoul 435 people and Jeju Island 188 persons we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ersons and the number of collections were not proportional even if the unconfirmed but considered domicile 32 people from Hwanghae-do, 13 people from Pyeongan-do, 5 people from Gyeongsang-do, 4 people from Chungcheong-do, and 2 people from Hamgyeong-do are added.
    Based on this thes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which has been focused only on the activities of independence fighters, will be able to expand to the basis of their spirit and literary competence through the collections of articles left by independence activists. In this regard, this paper, which is presented to researchers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literature of independence activists as a table, is meaningf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