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피노자와 마르크스, 또는 실천으로서의 철학(들) (Spinoza and Marx, or Philosophy(s) as praxi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2.11
33P 미리보기
스피노자와 마르크스, 또는 실천으로서의 철학(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마르크스주의 연구 / 19권 / 4호 / 10 ~ 42페이지
    · 저자명 : 진태원

    초록

    루이 알튀세르와 질 들뢰즈, 안토니오 네그리와 에티엔 발리바르의 이론적 작업 이후 스피노자와 마르크스 사이에 긴밀한 정치적ㆍ지적 연관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은 오늘날 비판 이론 분야에서 널리 공유되는 공통 통념이 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선구적인 작업을 배경으로 하여 스피노자와 마르크스의 철학관의 공통적인 특성을 실천으로서의 철학이라는 개념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실천으로서의 철학은 일차적으로 지배에 대한 비판을 주요 요소로 삼고 있다. 스피노자는 『윤리학』 1부 부록과 『신학정치론』 서문에서 목적론적인 가상과 미신의 제도를 지배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반면 마르크스는 초기 저술에서부터 자본주의 사회를 인간적 지배의 근본 구조로 파악하고 있다. 실천으로서의 철학의 두 번째 계기는 지배의 근본 특성을 해명하는 것인데, 이것은 소외라는 개념에 입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초기 마르크스 저술에서 지배의 핵심 원리로 제시된 소외 개념은 『자본』을 비롯한 후기 저술에서 가치 법칙과 상품 형식에 입각한 인간적 삶의 포괄적인 지배 원리로 확장되고 있다. 스피노자의 저술에는 소외라는 개념이 등장하지 않지만, 우리는 스피노자의 수동성과 예속 개념에서 마르크스의 소외 개념에 상당하는 지배의 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프랑크 피슈바흐와 프레데릭 로르동의 최근 연구는 이를 잘 예시해주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이들의 작업을 검토하면서 스피노자주의적인 소외 비판의 가능성을 탐구해볼 것이다. 실천으로서의 철학의 세 번째 요소는 해방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 구조 자체의 변혁을 추구하는 공산주의 혁명을 해방의 핵심으로 이해했으며, 스피노자는 수동성에서 능동성으로의 이행을 해방 또는 자유의 근간으로 파악했다. 우리는 스피노자의 “신을 향한 사랑”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해방의 조건들을 사고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idea that Spinoza and Marx share close political and intellectual connections has become widespread in the field of critical theory, after the work of Louis Althusser, Gilles Deleuze, Antonio Negri and Etienne Balibar.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intellectual connection between Spinoza and Marx based on three elements of philosophy as praxis. First, philosophy as praxis features a criticism of domination. Spinoza takes teleological illusions and superstitions to be the core of domination in the appendix of Part 1 of Ethics and Theologico-Political Treatise . On the other hand, from his early writings Marx understands capitalist society a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human domination. The second element of philosophy as praxis is alienation, which explain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domination. Presented as a core principle of domination in his early writings, Marx expands alienation into the comprehensive principle of the domination of human life based on the law of value and the commodity forms in later writings, including Capital . Although alienation does not appear in Spinoza's writings, we believe that one can grasp an equivalent principle in his concepts of passivity and servitude. The recent work of Franck Fischbach and Frédéric Lordon illustrates this well, and by reviewing their work we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spinozist critique of alienation. The third element of philosophy as praxis is liberation. Marx understood communist revolution, which seeks to transform the capitalist social structure itself, to be the core of liberation, and Spinoza identified the transition from passive to active as the basis of liberation or freedom. Finally, this article theorizes the conditions of liberation based on Spinoza’s concept of “love toward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