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명’과 ‘무자격’에 접근하기 위하여 – 기록되지 않은 피식민 여성(들)의 이름(들)에 관한 시론(試論) (Approaches to the “Unknown” and the “Unqualified” – An Essay on the Unrecorded Colonial Women’s Name(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0.06
24P 미리보기
‘무명’과 ‘무자격’에 접근하기 위하여 – 기록되지 않은 피식민 여성(들)의 이름(들)에 관한 시론(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91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정한나

    초록

    이 논문은 다양한 기록을 경유하여 한 무명 여인의 삶에 접근하고, 이를 통해 식민지기 여성운동을 재구하고자 하는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그 일환으로 이 글은 전등지라는 한 여인의 삶에 주목한다. 본고에서 이 여인의 삶은 남편에 관한 기록과 근화회 관련 기록으로 재구된다. 도쿄에 거주하던 시절 그녀는 남편의 사회적 지위를 적극적으로 전유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남편과 함께 도미한 후 근화회에서 활동, 교류하는 가운데 가부장제의 문법을 전면 거부하기에 이른다. 이는 김마리아를 비롯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동시대 여성에게 미친 영향력을 상상할 수 있는 장면이다. 김마리아는 애국부인회 취지문(1919)을 통해 여성에게 주어진 애국의 자격과 권리를 역설한 바 있다. 그러나 근화회(1928) 개회사에서는 여성에게 부과된 열악한 지위를 의식하며 이전보다 소극적인 자세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를 야기한 원인으로는 김마리아의 신체와 정신을 훼손했던 제국의 폭력, 훼손된 신체를 반복적으로 재현했던 미디어, 이를 바라보는 대중의 관음증적 욕망, 여성을 주변화했던 민족운동의 내부, 유학 생활 중 형성된 아시아 여성으로서의 자각 등을 들 수 있다. 최종적으로 김마리아는 민족의 아내로서 교육에 투신했고 미국에 홀로 남은 전등지는 신문에 “류태경 부인”으로만 등장한다. 전등지와 김마리아의 생애는 조선인 여성이 마주했던 제국과 피식민, 가부장제의 벽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ts out to approach the life of an unknown woman through the records of others, and thereby to rebuild the colonial women's movement. To this end, it focuses on the life of a woman named Deungji Jeon. This woman's life is reconstituted through the records of her husband and of the Keunwha Association, which was founded in 1928 by Maria Kim. While living in Tokyo, Deungji Jeon appropriated her husband's social status and patriarchal ideology. However, after going to America with her husband, while working and interacting at the Keunwha Association, she completely rejected the patriarchal ideology. These circumstances let us imagine the impact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ncluding Maria Kim. The latter emphasized the patriotic qualifications and rights given to women through the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but she became more passively conscious of the inadequate position imposed on women at the Keunwha Association. The causes of this change involved the imperial violence that impaired Maria Kim's body and mind, the media that repeatedly represented the damaged body, the voyeuristic mass desire for the damaged body, the core of the national movement that marginalized women, and her identity as an Asian woman during studying in America. Eventually, Maria Kim, as a wife of the nation, devoted herself to education. Deungji Jeon remained alone in the United States and was only referred to as "the wife of Taekyung Yoo" in newspapers. The lives of Deungji Jeon and Maria Kim reveal the limits of the Japanese Empire and patriarc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