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로이 전쟁과 바다의 민족들 (The Trojan War and the Sea Peopl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04
37P 미리보기
트로이 전쟁과 바다의 민족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34호 / 107 ~ 143페이지
    · 저자명 : 오흥식

    초록

    호메로스는 『일리아스(ΙΛΙΑΣ)』에서 그리스에서 제일 아름다운 여인, 스파르타 메넬라오스의 왕비 헬렌을 되찾기 위해 트로이 전쟁이 일어났다고 시인답게 원인을 말하고 있다. 그런데 소아시아의 내륙에 자리잡았던 히타이트 제국(1700 1200 BC)의 문서가 해독되고 연구되면서 역사가들은 히타이트 문서의 아키야와(Ahhiyawa)를 그리스의 아카이아인들(그리스어의 Achaioi, 영어로 Achaeans)로 보고, 소아시아 서부 해안을 놓고 히타이트와 대치하던 미케네 그리스(청동기 시대의 그리스)가 히타이트의 국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히타이트의 봉신국이었던 트로이—히타이트는 트로이를 기지로 삼아 소아시아의 그리스인들을 제어하고 있었다—를 장악하여 해안 지역 전체를 차지하려고 했던 것이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트로이 원정의 원인을 더 넓은 차원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기원전 1200년 경 동지중해를 혼란에 빠뜨려서 청동기 시대를 실질적으로 막내리게 했던 ‘바다의 민족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바다의 민족들과 그리스인들을 연계시키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도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로, 트로이 원정 직후의 노스토이(Nostoi, 트로이로부터 귀향하는 그리스군)의 활동이 파라오 메르네프타와 라메세스 3세 때 이집트에 침입한 바다의 민족들에 포함되어 있음을 주장하려 한다. 그런데 이 주장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니라 할 수 있으나, 이집트 비문에 기록된 아카이와샤와 데니엔이 구체적으로 어떤 그리스인인지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여기서는 그리스 연표와 이집트 연표를 좀 더 세밀하게 연계시키고 트로이 전쟁 후에 노스토이들이 세운 나라들의 활동을 바다의 민족들의 활동과 연계시켜 아카이와샤와 데니엔의 정체를 좀 더 구체적으로 구명하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자가 다달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트로이 원정을 이집트와 연계시켜 연구할 경우, 대단히 어려운 과제가 그리스 연표와 이집트 연표를 맞추는 작업이다(두 지역의 연표도 각각 여럿이다). 우선 두 지역의 연표를 맞추기 위해, 기원전 3세기에 기록된 『파로스 연대기』가 말하는 트로이 전쟁의 시기 기원전 1218/7 1209/8년을 믿을 만하다고 연구자의 믿음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그런 믿음의 근거는 본문에서 언급된다).
    이집트에 침입한 바다의 민족들 중에 이집트 비문에서 언급된 아카이와샤(’Iḳwš, Akaiwasha)와 데니엔(Dnn, Denyen)이 그리스인들이라고 보는 데에는 학자들 사이에 큰 이견이 없다. 이집트 기록에 따르면, 메르네프타 5년에 아카이와샤가, 30년쯤 후 라메세스 3세 8년에 데니엔이 침입하였다. 트로이를 공격한 그리스인들이 그리스측 사료에서는 ‘아카이오이(Achaioi)’로 그리고 히타이트 사료에서 ‘아키야와(Ahhiyawa)’로 기록되었다면, 이집트 사료의 ‘아카이와샤’가 앞의 두 발음과 비슷한 발음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연구자는 메르네프타 치세에 이집트를 침입한 아카이와샤가 트로이로 원정한 ‘아카이오이’인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것을 두 지역의 연표로 맞출 수 있을까? 이집트 신왕국 연표로 학자들에게 많이 사용되는 것은 『캠브리지 고대사(Cambridge Ancient History)』(1973)의 연표와 『옥스퍼드 고대이집트사(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2000)의 연표이다. 연구자는 『옥스퍼드 고대이집트사』의 신왕국 연표가 더 믿을만한 이유가 있다고 보았고, 그 연표에 따르면 아카이와샤의 침입연도는 1208년이니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트로이 원정이 1209년에 끝나고 1년 후에 아카이아인들이 이집트에 침입한 셈이 되어, 연대적으로 잘 들어맞는다. 그렇다면 라메세스 3세 8년에 침입한 것은 데니엔이고 그 연도는 『옥스퍼드 이집트사』에 따르면 기원전 1176년이 된다.
    학자들 사이에 아카이와샤와 데니엔이 그리스인일 것이라는 데에는 대체로 일치된 생각을 지니고 있지만, 그 차이가 명확히 제시되지는 않았다. 연구자의 이 연구에 따르면, 미묘한 차이가 있다. 아카이와샤가 히타이트어의 아키야와, 그리스어의 아카이오이와 관련된 것이라면, 아카이와샤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던, 아카이오이인들을 비롯한 여타 그리스인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데니엔은 트로이 전쟁 때 아르고스 왕 암필로코스가 이끌어던 아르고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트로이가 함락된 후에도 암필로코스는 아르고스인들을 이끌고 킬리키아의 말로스(Mallus)에까지 이동하여 클라로스의 예언자 모프소스(Mopsus)와 함께 나라를 세웠다. 후에 그리스 저자들에 따르면, 말로스(Mallus)의 아르고스인들은 시리아, 페니키아에까지 이동하였다. 연구자는 이들 아르고스인들이 바다의 민족들의 하나로서 이집트를 침입했다고 본다. 그 이유는 이러하다.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1511년, 다나오스(Danaus)는 아르고스에 도래하여 나라를 세웠고 아르고스인들을 다나오이(Danaoi, ‘다나오스의 백성’이라는 뜻)로 명명하였고, 그후 다나오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아르고스 왕 암필로코스가 이끌었던 아르고스인들, 곧 다나오이인들이 이집트에 침입했다면, 이집트인들은 이들을 Dnn(Denyen, 데니엔)으로 기록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Homer says that the Trojan War broke out to get back Helen, the most beautiful woman in Greece. However, since documents from the Hittite empire (1700 1200 B.C) have been deciphered and studied, many of the scholars identify Ahhiyawa in the Hittite documents with the Achaeans. They argue that the Achaeans made war with Troy, the vassal city of the Hittites, when the Hittite Empire was weakened in the second half of the thirteenth centur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find better and wider reasons for the Trojan War, as opposed to the reasons traditionally held about that conflict. An attempt is under way to link the Greeks with the Sea Peoples, who plunged the eastern Mediterranean in chaos around 1200 BC and substantially ended the Bronze Age.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activities of the nostoi (the Greek army going home from Troy) after the Trojan War were related to the invasions of Egypt by the Sea Peoples. Scholars see Akaiwasha and Denyen, two of the Sea Peoples recorded in Egyptian inscriptions, as Greeks. According to Egyptian records, Akaiwasha invaded Egypt in Merneptah's third year, Denyen in Ramesses' 8th year about thirty years after the invasion of Akaiwasha.
    But scholars disagree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Akaiwasha and Denyen.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Akaiwasha and Denyen more specifically by linking the Greek chronology with the Egyptian, and the activities of the nostoi with the activities of Sea Peoples, by using detailed Greek sources.
    The conclusion which this paper has reached is summarized as follows: When one studies the Trojan War in connection with the Sea Peoples, it is a very difficult task to connect the Greek chronology with the Egyptian (Ancient Greece and Egypt have several chronologies respectively). To fit the chronologies of the two regions with each other, first of all I accept the date of the Parian Marble (inscribed in the third century B.C.): the Trojan War took place 1218/7 1209/8 BC.
    The Greeks who attacked Troy were recorded as ‘Achaioi’ in Greek and ‘Ahhiyawa’ in Hittite. As ‘Akaiwasha’ in Egyptian inscription is pronounced (Akaiwasha) similar to the previous two, Achaioi could have invaded Egypt after the fall of the Trojan War. Could this conjecture fit in terms of the chronology?The Egyptian New Kingdom chronologies which are used most among scholars are those in Cambridge Ancient History (1973) and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2000). I consider the chronology of the latter more reliable. According to that chronology Akaiwasha invaded Egypt in 1208 B. C. As the Trojan expedition ended in 1209/8 BC (according to the Parian Marble) and the Achaeans (that is, Akaiwasha) invaded Egypt one year later or in the same year. Then Denyen invaded Egypt in Ramesses III’s eighth year, 1176 BC, according to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There is a consensus of opinion among scholars that Akaiwasha and Denyen were Greeks, but the reasons are not presented clearly.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cording to this paper. Akaiwasha referred to all the Greeks, including Achaeans, who fought in the Trojan War. Denyen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Argives, who were led by Amphilochus the King of Argos during the Trojan War. After the capture of Troy Amphilochus moved to Mallus in Cilicia, and founded a country there (with Mopsus the prophet of Clarus or Colophon). Later the Argives from Mallus moved to Syria, even to Phoenicia according to Strabo (xiv.4.3). It stands to reason that the Argives invaded Egypt as Denyen, one of Sea Peoples, because the Argives had been called Danaoi (Danaans) by Greek writers (Danaus founded a country in Argos in 1511 BC according to the Parian Marble.) It is likely that Egyptians recorded these Danaoi (Danaans) as Dnn (Denyen) in Egyptian hieroglyp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