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들의 충돌탐지능력 검증 (Children's Perceptual Capacity to Detect Collision Impa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06
25P 미리보기
어린이들의 충돌탐지능력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2권 / 2호 / 325 ~ 349페이지
    · 저자명 : 이채영, 임용현, 김남균

    초록

    광흐름 속에 담긴 광학정보인 tau-dot은 -0.5라는 수치를 경계로 다가오는 물체와 ‘충돌(collision)’과 ‘멈춤(no collision)’의 두 범주로 분리되어, 물체와 관찰자 간의 충돌 여부를 명시한다. 본 연구는 tau-dot에 대한 민감성을 5~13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실험 1은 움직이는 차량이 정지한 관찰자를 향해 접근하는 상황을, 실험 2는 움직이는 관찰자가 정지된 물체를 향해 접근하는 상황을 묘사하였다. 양자선택과제로 실험은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다가오는 접근이 안전한 ‘멈춤’이 될 것인지, 아니면 위험한 ‘충돌’이 될 것인지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학령 전(5~7세) 아동들의 민감성이 취학(8~13세) 아동들에 비해 낮았으며, 5세 아동들의 민감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존 교통안전교육은 도로 횡단에 필요한 기술로써 접촉시간 지각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충돌여부의 민감성을 확인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했을 때, 충돌여부의 지각에 대한 교육을 병행한다면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wo experiments investigated children’s perceptual capacity to detect potential collision impacts. Children from 4 to 12 years of age participated as observers in the study. In Experiment 1, displays depicted either a small car or a large truck approaching the observer against a road-scene background, producing a local perturbation in the visual field. In Experiment 2 displays depicted the observer’s own movement toward obstacles (a global perturbation of the visual field). Simulated approaches were created following the tau-dot hypothesis in which, when tau-dot ≥ -0.5, approaches result in safe stops without collision; but when tau-dot < -0.5, approaches result in collisions with impact. Predefined tau-dot values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each simulated approach. Results demonstrated that 4-6 year olds performed poorly compared with 7-12 year olds. Nevertheless, even the 4 year olds performed consistently with that predicted by the tau-dot hypothesis in Experiment 1 but their performance deteriorated to chance level in Experiment 2. Current child pedestrian safety education focuses on facilitating children’s abilities to cross streets safely by enhancing their sensitivity to optical variables specifying time-to-contact. This research supports developing children’s perceptual capacity to detect potential collision impact as part of these training progra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일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