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민 당사자들이 인식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인식 경험 (Experiences of Cultural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Former Inhabitants which the Immigrant Parties Perceived)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11
25P 미리보기
이주민 당사자들이 인식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인식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8권 / 4호 / 143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은재, 최현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 당사자들이 인식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인식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로 접근하여 한국사회통합을 위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인식개선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이주민이 인식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인식과 태도는 출신국의 경제력에 따른 이중적인 태도에 분노와 자멸감을 경험함, 이주민에 대한 선주민들의 편향적인 고정관념으로 인한 차별, 국적을 취득해도 넘지 못하는 한국사회로 나타났다. 둘째, 사적영역에서 경험한 차별과 배제는 언어부족과 다름을 문화적인 열등감으로 인식하고 차별과 무시로 일관됨, 타문화에 배타적이고 밀어붙이기식의 동화를 강요하는 사회, 과도한 복지수혜자로 오인됨으로 드러났다. 셋째, 공적영역에서 체험한 차별과 배제는 이주민을 분리하고 배제하는 한국의 다문화정책, 주체와 객체가 뒤바뀐 다문화현장, 공교육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상적인 차별의 두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주민이 제안하는 다문화사회는 변화의 빗장이 서서히 열리고 있지만 산 너머 산, 선주민과 이주민을 구별 짓는 경계넘기, 다문화사회의 단단한 주춧돌 쌓기, 편견과 차별을 넘어 ‘새 술은 새 부대에 담기’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사회통합을 위한 선주민들의 다문화인식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cultural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former inhabitants for social integration by administering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ultural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former inhabitants which the immigrants parties perceived in Korean society. As the results, first, it appeared that the perceptions and the attitudes of former inhabitants which immigrants perceived included 'Anger and frustration about dual standards according to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e countries which the immigrants were originated from', 'Discrimination by stereotypes of former inhabitants towards immigrants', 'Viewing them still as outsiders in spite of obtaining Korean nationality'. Second, the discriminations and exclusions which the immigrants experienced in public sectors included 'Considering broken languages of immigrants as inferior', 'Misunderstanding of excessive welfare benefits for immigrants'. Thirds, it appeared that discriminations and exclusions which the immigrants experienced in public sectors included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which segregate and exclude immigrants', 'the Reality which the subject and the object has been reversed', 'Fears of discrimination in daily lives'. Fourth,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ch the immigrants suggest includes 'Mountain after mountain' in spite of the gradual changes, 'Overcoming the boundaries between former inhabitants and immigrants', 'Building cornerstone in multicultural society', 'Putting new liquors into a new bottle' over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is study seems to attribute to suggest the directions and the methods for improving perceptions of former inhabitants in order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in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행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