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년들이 살아갈 사회와 소장 학자들의 삶 기획하기 (Planning for the Future Society that the Youth Will Face and the Lives of Young Schola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7
26P 미리보기
청년들이 살아갈 사회와 소장 학자들의 삶 기획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문화 / 20호 / 229 ~ 254페이지
    · 저자명 : 조극훈

    초록

    이 글은 청년들이 살아갈 사회 기획하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장 학자들의 삶과 학문을 기획하고 실현할 수 있는 학문 풍토와 사회 여건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신규박사 고용 여건 변화 통계 자료에 의하면, 인문계열 상용직 취업비율은 2011년도 56.6%에서 2014년 49.0%로 감소되었으며, 연봉 4천만원이상 비율도 52.7%에서 31.2%로 감소되었다. 그만큼 인문학 박사의 연구자 생활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용여건의 악화상황에서 소장 학자들이 살아갈 사회의 여건과 준비사항을 인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하기 위해, 먼저 자본주의 사회와 소장 학자의 삶을 분석하였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3포세대가 등장할 정도로 불안한 청년들의 상황을 제시하면서 그 원인을 빈곤, 교육, 불평등 문제 등으로 분석하였다. 노력과 성취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는 사회이동성 지수가 청년층일수록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사회정의와 학자의 사명에서는 학자적 삶의 양식을 활동적 삶과 관조적 삶으로 분석하고 전문직으로서의 학자의 사명과 새로운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과 도전의식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장 학자의 삶의 기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정한 절차와 분배 정의 실현이 라는 사회여건과 함께 원전독해 능력과 진리에 대한 믿음과 같은 개인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인문학 협동조합의 결성과 같은 결사체의 필요성과 함께 노숙인 인문학, 교정 인문학,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신생 인문학 분야 개척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part of the project entitled “Planning for the Society that the Youth will Face” and aims to take into account learning environments and social conditions in which young scholars’ lives and scholarship are adequately realized and enhanced.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changes in employment conditions in South Korea for the newly graduated doctors, the percentage of fully-employed humanities workers decreased from 56.6% in 2011 to 49.0% in 2014, and the percentage of those who earn more than 40 million won also decreased from 52.7% to 31.2%. This fact alone is enough to show that the lives of those who have doctorate degrees in the humanities are becoming more difficult.
    To discuss the conditions and the preparation for the type of society that young scholars will face in line with the worsening situation of employment, especially focusing on the humanities, this study analyzes a capitalist society and the lives of young scholars in that society. In that regard, the current state of the youth was examined, and was found to be unstable to such an extent that a new term “the Sampo Generation” has been coined referring to a new generation in South Korea that has given up courtship, marriage and childbirth. The cause of this situation is clarified in terms of poverty, education and inequality. It is found that social mobility, which indicates the reliability of endeavors and accomplishments, i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younger generation. With regard to social justice and the mission of scholars, an analysis is made by means of dividing their lifestyles into active and contemplative forms of life. The present study also strong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mission of scholars as professionals, their interests and a sense of challenge in a new academic field.
    Lastly, for the realization of planning the lives of young scholars, some personal factors, such as reading skills on authentic texts and belief in truth, are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social factors, including fair procedure and the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field in the humanities, such as humanities for the homeless, correctional humanities, and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an organization of associations of humanities workers, such as a humanities cooperative assoc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