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해 지명의 의미‘들’과 영역‘들’의 변화 (Changes of the Meanings and Toponymic Territories on the Name East S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12
33P 미리보기
동해 지명의 의미‘들’과 영역‘들’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역사지리 / 25권 / 3호 / 99 ~ 131페이지
    · 저자명 : 김순배

    초록

    본 연구는 동해 지명에 간직된 다양한 의미‘들’을 유형화하고 각 지명이 지칭하는 영역‘들’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동해 지명의 의미들에는 네 가지 층위, 즉 보통명사로서의 동해, 국명, 해명, 민족 해명이라는 유형들로 구분되며, 시대별, 유형별로 각 지명 의미들이 지칭하는 지명 영역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꾸준히 변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나타나다가 구한말 시기에 크게 증가한 후 해방이후 현대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기록되다가 구한말 시기에 이르러 보이지 않고 있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전 시기에 걸쳐 다수의 형태로 존속하였다. 민족 해명의 경우는 조선시대까지 발견되지 않다가 구한말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 명맥을 유지하다 해방 이후 현대에 크게 증가하였다. 네 가지 지명 의미들은 시대를 거치면서 각기 다양한 지명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그것이 쓰인 용례에 따라 신라의 동쪽 바다, 조선 울진현의 동쪽 바다, 또는 구한말에는 아프리카의 동쪽 바다 등으로 각기 다른 지리적 범위를 지칭하였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시대에 따라 신라국 강역을 지칭하기도 하였고, 이후 고려국 혹은 조선국 영토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삼국시대 이래 현대로 오면서 다양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현대로 오면서 점차 영역의 크기가 확대되었다. 특히 삼국시대 초기 고구려의 동해 영역은 두만강 하구 혹은 함경도 해안이었으며, 신라의 경우 대종천 하구의 ‘동해구’, 즉 경북 경주시 양북면-감포읍 해안을 ‘동해’라 지칭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민족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 영역은 일반적으로 당대의 해명이 지칭하는 물리적인 영역과 일치하며 그 영역에 일정한 민족 정체성의 의미가 부여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meanings of the Name East Sea (Dong-hae) and analyse the each toponymic territories of the meanings of East Sea. Consequently, the meanings of East Sea are divided into four layers, such as common noun, the name of a country, sea name, and sea name with national identity. I identify that the toponymic territories designated by each its meanings have been constantly changed so far. In general, the record ‘dong-hae’ (東海) as a common noun had been steadily found in the old literatures, ancient documents, and old maps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918-1392), and Joseon Dynasty (1392-1897), and then shown on the largest rise at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1897-1910).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45), its record has been disappeared in the present-day. The Name East Sea as country’s name had not been shown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fter constantly recording throughout Joseon Dynasty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is the most general type, it has been recorded and called throughout all historical periods. In particular, The Name East Sea as a reflection of national identity had not been discovered to Joseon Dynasty, and then started to used and recorded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nd barely remained in existen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finally it has largely increased nowadays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The four meanings of East Sea have had the each diverse toponymic territories throughout historical periods. Especially, the territory of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has diversely shown us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general, its territory has been gradually enlarged until now. Particularly, The East Sea territory of Goguryeo Kingdom in the early Three Kingdom Period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uman River or the seashore of Hamgyeong-do province, and early Silla Kingdom’s East Sea territory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aejong Stream, ‘Donghae-gu’ (the mouth of East Sea, 東海口)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oday’s Yangbuk-myeon and Gampo-eup. Since then, according to the whole territory’s change of two Kingdoms, the sea area named as East Sea had gradually expanded to southward or north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역사지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