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산경제와 정책태도 - 성별 연령집단별 노동시장지위별 불로소득 환수에 대한 태도 연구 (Asset Economy and Policy Attitudes - A Study on Attitudes towards Taxation for the Unearned Income by Gender, Age Group, and Labor Market Statu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09
41P 미리보기
자산경제와 정책태도 - 성별 연령집단별 노동시장지위별 불로소득 환수에 대한 태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39호 / 191 ~ 231페이지
    · 저자명 : 김도균, 양종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산경제의 동학이 정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불로소득 환수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불로소득 과세가 불평등 해법으로 제시되지만 정작 사람들이 불로소득 과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다룬 연구는 별로 없다. 이 글은 한국 사회에서 성별·연령집단별·노동시장 지위별로 불로소득 환수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함으로써 자산경제가 정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부동산에 대한 불로소득 환수를 거주목적 주택과 토지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거주목적 주택의 불로소득 환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가 강한 반면, 투자자산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 토지 불로소득의 환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태도가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성별, 연령집단별, 노동시장지위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 연령집단별로는 중·고령 자보다 20~30대, 노동시장지위별로는 상층 노동집단에 비해 중하층 노동집단과 비경제활동 집단에서 불로소득 환수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가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득 상실 위험에 대한 대비가 미흡하다고 생각할수록, 노동소득만으로 안정된 생활을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어느 정도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투자소득이 필요하다고 생각할수록 불로소득 환수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매개효과 분석 결과 성별·연령별·노동시장지위별 차이는 부분적으로 이러한 소득 상실 위험 대비, 투자소득에 대한 인식 정도에 의해 설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동소득과 공적 이전소득은 정체되는 반면 자산의 중요성은 증가하는 자산경제하에서는 부유층뿐만 아니라 여성, 청년, 비경제활동 집단 등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불안정한 위치에 놓여 있는 집단에서도 불로소득 환수 - 특히 거주목적 주택의 경우 - 에 부정적 태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ynamic aspects of asset economics on policy attitudes, with a focus on attitudes toward the taxation of unrealized income. While taxation of unrealized income has recently been proposed as a solution to inequalit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examines individuals’ perceptions of such taxat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attitudes.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multidimensional impact of wealth economics on policy attitudes by analyzing how attitudes toward the realization of unrealized income vary across gender, age groups, and labor market status within Korean society. First, when examining the recovery of unrealized gains on real estate, broken down into residential property and land, different patterns emerge. With regard to the recovery of unrealized gains on residential property, there is a markedly negative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recovery of unrealized income from land, which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investment assets. Second, when stratified by gender, age group and labor market status, certain differentiations become apparent. In terms of gender, women have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recovery of unearned income than men. In terms of age groups,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30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middle-aged and older individuals. When analyzed by labor market status,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unrealized income recovery is observed among the lower-middle working segment and the economically inactive groups, as opposed to the upper working segment. Third, individuals who perceive themselves as inadequately prepared for a potential loss of income and those who find it difficult to maintain a stable livelihood based solely on labor income have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unrealized income recovery. Similarly, those who perceive a need for investment income to maintain a certain standard of living also exhibit negative attitudes. Mediation analysis suggests that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labor market status can be partially explained by different perceptions of income loss preparedness, labor income, and investment income. These research findings illustrate that in an expanding asset economy, where labor income and public transfers stagnate while the importance of assets increases, not only the wealthy but also relatively vulnerable groups such as women, youth, and the economically inactive may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unrealized income recovery,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hou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