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득구의 하늘에 대한 회의와 이단 인식 (Shin Deuk-gu’s Skepticism about Heaven and Perception of Heres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4.12
28P 미리보기
신득구의 하늘에 대한 회의와 이단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8권 / 207 ~ 234페이지
    · 저자명 : 김낙진

    초록

    신득구가 학계에 알려진 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10여 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에 19세기 말엽 몇 년 동안 조선 유학계 일각을 달구었던 그와 관련된 논쟁의 대개가 밝혀졌다. 그런데 필자가 볼 때, 이 연구들은 그가 새로운 학설[新說]을 제기한 동기를 밝히는 데는 미흡했다. 『天說·天人辨』에만 관심을 집중했지, 문집인 『農山集』에 수록된 서신과 잡문들을 연계하여 살피는 일에 소홀했기 때문이다. 그가 가졌던 문제의식의 중심에는 선험적 원리[天理]라고 믿어졌던 福善禍淫의 원칙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불만이 있었다. 즉 조선의 윤리체계[綱常]를 붕괴시킬 가능성이 있는 異端들(서양인 및 기독교 신앙자)에게 원리대로 반응하지 않는 하늘을 믿을 수가 없었다. 이면에는 西勢의 침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정치력에 절망한 유학자의 고뇌가 있었다고 필자는 이해한다. 천리를 실현하는 완전체로서 道의 영속성을 보증하는 존재라고 여겨진 하늘에 대한 불신은 강상의 근간을 붕괴시킬 위험성이 있었으므로, 그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단을 배척하다가 이단으로 배척되는 역설적 현상이 발생했던 것이다. 그의 회의는 유교가 더 이상 시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각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조짐이었다. 다만 깊은 성찰로 나가지 못했기에 학계의 전반적인 각성과 사상의 전환을 이끌어낼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영어초록

    Shin Deuk-gu has not been known in the academic world for a long time, but more than 10 papers have been published so far. Accordingly, the meaning of his controversy was largely revealed. In my view, these studies were insufficient to reveal his motivation for proposing a new theory while confronting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This is because research was focused on his ‘new theory’ and neglected to examine the letters and miscellaneous articles included in the collection. Shin Deuk-gu was dissatisfied that the principle of priori principle is not working properly. It is interpreted as a cry of the ruling class over their inability to respond to the invasion of Western powers, which were regarded as heretics. Shin Deuk-gu came to distrust Heaven as he saw Heaven could not react according to its principles to the barbarism that invaded foreign country and destroyed ethics. Distrusting heaven, which was considered to be a perfect entity that constantly realizes a priori principles and thus a being that guarantees the permanence of the Tao, was an act that destroy the foundation of the Tao, and so he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by Confucian scholars. His despair was a sign of change that had the potential to lead to a realization that Confucianism can not 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s. However, because it was not a systematic suspicion, it dould not lead to awakening and philosophical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