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화상을 통해 본 빈센트 반 고흐와 에드바르드 뭉크의 내면표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ner expression of Vincent van Gogh and Edvard Munch through Self-Portrai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02
24P 미리보기
자화상을 통해 본 빈센트 반 고흐와 에드바르드 뭉크의 내면표현에 관한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28권 / 1호 / 225 ~ 248페이지
    · 저자명 : 박완용

    초록

    본 연구는 빈센트 반 고흐와 에드바르드 뭉크의 자화상을 통하여 내면 표현의 의미와 조형 언어를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들이 내면의 표현에 치중했던 이유는 어린 시절부터 경험되어 왔던 불안과 좌절 등의 내면을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내면에 대한 응시로 그리게 된 자화상을 고흐는 자기 자신을 시각화함으로써 타인에게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했다면 뭉크는 상실의 슬픔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신의 현재를 객관적으로 통찰하고자 했다. 그 내면표현의 의미와 원리를 작품의 내용과 양식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면, 내용인 자화상을 통한 내면표현의 의미에서는 고흐가 영원한 내면적 생명력의 표현으로, 뭉크는 겪었던 불안과 공포의 표현이라는 차이가 보인다. 또한, 작품의 양식인 색채와 톤, 마티에르, 빛, 공간과 시선 처리, 인물의 크기 등의 조형 언어 분석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고흐는 고명도의 노란빛을 파랑과의 대비로 자신을 드러내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밝은 톤, 강력한 마티에르, 순광, 큰 인물상, 명확한 시선 처리로 자신을 주장하고 있다면 뭉크는 붉은색을 검정과 대비시키면서 죽음과 불안을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어두운 톤, 격한 터치의 평면적 마티에르, 역광, 흐릿한 시선 처리와 작은 크기의 인물로 내적갈등의 표현과 자신의 문제를 시각적으로 통찰하여 수용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ner principles of expression and formative language through self-portraits of Vincent van Gogh and Edvard Munch. The artists wanted to express the internal anxiety and frustration that they had experienced in their childhoods. While Van Gogh tried to prove his existence to others by depicting himself in a self-portrait drawn as a gaze at inner feelings, Munch tried to gain an objective insight into his present, unable to escape from the sadness of loss. When comparing the meaning and principle of inner expression based on the content and style of their self-portraits, the difference is shown in Van Gogh’s expression of eternal inner vitality and Munch’s expression of anxiety and fear.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formative language analysis such as color and tone, matiere, light, space, the angle of vision, and size of the subject. Gogh uses bright yellow in contrast with blue as a means of expressing himself, and he asserts himself with strong matiere, plain light, a large-size portrait, and the subject’s clear eye-contact with the viewer. However, Munch contrasts red with black, using the dark tones as a symbol of death and anxiety, a flat matiere of intense touch, backlight, blurry eye contact, and a small-sized subject. These qualities express his internal conflict and his acceptance of his own problems with visual ins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