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주석 (2) : 숭고 개념을 중심으로 (Kritische Bemerkungen zu Paul de Mans Deutung von Hegels Ästhetik (2) : in Hinsicht auf den Begriff des Erhabene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10
38P 미리보기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주석 (2) : 숭고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5권 / 33 ~ 70페이지
    · 저자명 : 권정임

    초록

    본 연구는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관한 2차 연구이다. 1차 연구는 상징 개념이 중심이 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숭고 개념을 중심으로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의 방법과 의미들을 고찰했다. 상징과 숭고 개념은 헤겔 미학에서 내용과 형식의 ‘차이’ 내지 ‘불일치’를 특성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숭고는 여러 가지 상징적 표현 방식들을 포괄하는 미적 범주로 이해된다. 하지만 드 만은 상징과 숭고를 ‘수사적’이라는 데서 연관성을 찾으면서도 헤겔의 숭고 개념을 형상적 표현이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유대교적 신성자의 ‘언어적 수식’에 한정한다. 그리고 숭고의 언어적 수식은 신성자와 그것의 표현 간의 ‘차이’를 가리킬 뿐, 신성자 자체와는 상관이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숭고 개념 해석과 더불어 드 만은 이에 이어지는 ‘비유적 상징론’을 분석하고, 이 영역에서는 예술의 내용이 되는 신성자가 예술가의 주관성 혹은 인간적인 것(humanus)으로 대치되면서 더욱 하찮고 중요하지 않게 됨을 주시한다. 또한 드 만은 비유적 상징론에는 신성자와 표현 간에 분리가 일어나고, 표현이 형상적이며 자의적인 비유가 됨으로써 신성자와의 차이를 지시하는 언어적 수식으로서의 숭고가 발전적으로 다뤄지지 않는다고 본다. 이러한 고찰에서 드 만은 헤겔 미학 내에서 숭고가 탈변증법적으로 다뤄졌음을 강조한다. 그는 숭고와 비유적 상징론에서 신성자의 무력화와 숭고의 이러한 탈변증법적 성격을 통해 헤겔 미학이 기존의 사회, 정치 질서에서 존엄한 것으로 군림해 왔던 것들을 전복하는 정치비판적 특성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M. 도노오는 헤겔 미학에서 숭고는 전혀 중요한 부분이 아니라고 보며, 드 만의 헤겔 숭고 해석과 주장들이 타당하지 않다고 단적으로 비판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노오와 달리, 드 만이 헤겔의 숭고 개념에 대해 해체론적 언어비평방법으로 접근하여 헤겔 미학의 의미를 확장시키려 한 시도를 높이 평가한다. 다만 드 만의 해체론적 해석이 헤겔이 본래 규정한 개념의 의미를 확장시킬 수 있느냐, 아니면 오히려 축소시키느냐의 측면에서 볼 때, 드 만의 헤겔 숭고 개념의 새로운 해석은 매우 흥미로움에도 불구하고 헤겔이 원래 ‘내용과 의미의 불일치’로 규정한 포괄적인 의미, 즉 상징적 예술형식 일반의 미적 범주의 성격을 상실하게 된다는 점에서는 단편적이라고 본다. 유대교적 신성자만을 내용으로 한다거나, 신성자와의 차이를 가리키는 ‘언어적 수식’만으로 간주하는 드 만의 해석과 달리, 숭고를 ‘차이’ 일반을 특성으로 하는 개념으로 볼 때 헤겔의 숭고 개념은 오늘날 포스트모던의 숭고 담론의 시원으로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가질 것이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ist die zweite Untersuchung über Paul de Mans Deutung von Hegels Ästhetik. Während in der ersten Untersuchung die Methode und der Sinn der de Manschen Deutung von Hegels Ästhetik in bezug auf den Begriff des Symbols betrachtet wurde,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seine Deutung vom Begriff des Erhabenen erörtert. Es gibt einen gemeinsamen Punkt zwischen dem Symbol und dem Erhabenen in Hegel Ästhetik, dass beide die ‘Differenz’ bzw. ‘Unangemessenheit’ des Inhalts und der Darstellung zum Zug haben. Besonders gilt das Erhabene als das ästhetische Kriterium, das die verschiedenen Darstellungsweisen des Symbols umfasst. Aber de Man beschränkt Hegels Begriff des Erhabenen auf die Sprachfigur der jüdischen Religion, in der die bildliche Darstellung des Heiligen unmöglich gilt, obwohl er im ‘Figurischen’ den Zsammenhang zwischen dem Symbol und dem Erhabenen findet. Und er hebt hervor, dass die Sprachfigur bloss die Differenz zwischen dem Heiligen und dessen Darstellung zeigt und mit dem Heiligen selbst nichts zu tun hat.
    Anschließend an die Deutung des Begriffs des Erhabenen auf solche Weise analysiert de Man den Teil über die 'vergleichende Symbolik in Hegels Ästhetik und betont, dass in dieser Symbolik das Heilige, das der Inhalt der Kunst ist, gleichgültig wird, indem es zu der künstlerischen Subjektivität oder dem humanus wird. Außerdem sieht er in der vergleichenden Symbolik, dass sich das Erhabene als die auf die Differenz zwischen dem Heiligen und dessen Darstellung hinweisende Sprachfigur nicht weiter entwickelt. Denn das Heilige trennt sich darin von seiner Darstellung, und zugleich wird die Darstellung zur bildlichen und willkürlichen Trope. In diesem Hinblick erläutert de Man, dass das Erhabene in Hegels Ästhetik entdialektisch behandelt worden ist, und er behauptet weiterhin, dass Hegels Ästhetik durch die Gleichgültigkeit des Heiligen im Erhabenen und den entdialektischen Charakter des Erhabenen die einen bestehenden herrschenden Wert umstürzende politik-kritische Kraft hat.
    Aber M. Donougho kritisiert de Mans Behauptung sowie seine Deutung des Hegelschen Begriffs des Erhebenen, indem er bei Hegel das Erhabene gar nicht wichtig findet. Im Unterschied dazu lässt die vorliegende Arbeit de Mans Annährung an Hegels Begriff des Erhabenen mit der dekonstruktiven sprachkritischen Methode gelten. Wenn es aber um die Akzeptierbarkeit des Resultats einer neuen Deutung geht, könnte es dann das Kriterium sein, ob der neu gedeutete Sinn den von Hegel selber bestimmten eigentlichen Sinn des Begriffs erweiteren kann oder eher einschränkt. In dieser Hinsicht wird de Mans Deutung des Hegelschen Begriffs des Erhabenen, wenn auch sehr interessant, als einseitig bewertet. Denn sie richtet sich nur auf das jüdische Heilige und die Sprachfigur für dieses, so dass sie Hegels Begriff des Erhabenen als das ästhetische Kriterium für die symbolische Kunstform im Allgemeinen nicht fungieren läßt. Wenn man aber anders als de Man Hegels Begriff des Erhabenen im Sinne der ‘Unangemessenheit des Inhalts und der Form’ versteht, kann Hegels Begriff des Erhabenen einen noch umfangsreicheren Sinn vom Ursprung des gegenwärtigen postmodernen Diskurses über das Erhabene enthalt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