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라르메의 「에로디아드의 결혼」으로 읽는 「목신의 오후」 (Study on "L'Après-midi d'un faune" in "Les Noces d'Hérodiade" of Mallarmé)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0.08
38P 미리보기
말라르메의 「에로디아드의 결혼」으로 읽는 「목신의 오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프랑스학논집 / 111권 / 1 ~ 38페이지
    · 저자명 : 장정아

    초록

    말라르메의 「목신의 오후」(L'Après-midi d'un faune)는 「에로디아드」(Hérodiade)로 고갈된 자신을 북돋우기 위한 작품이었다. 창백한 ‘에로디아드’의 「에로디아드」에 지친 겨울날을 보내면, 한낮의 열정을 지닌 ‘목신’의 「목신의 오후」에 시인의 여름은 할애된 것이다. 그리하여 겨울, 빙하, 고독, 순수의 흰빛이 에로디아드와 연결되는 만큼, 여름, 한낮, 사랑, 열정의 붉은빛이 목신과 연결되는 것이 일견 자연스러워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목신의 오후」의 목신과 「에로디아드」의 에로디아드는 말라르메의 시 세계에서 오히려 공통되는 지점에 서 있다. 목신과 에로디아드는 말라르메의 시적 궁극을 구현하는 인물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목신의 오후」의 목신이 말라르메의 시 세계에서 「에로디아드」의 에로디아드와 다르지 않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에로디아드」와의 비교를 통해서 드러낼 것이다(「에로디아드의 결혼」은 「에로디아드」의 수정된 제목이다). 이렇게 「에로디아드」를 통해 「목신의 오후」를 읽으며, 목신을 에로디아드와 비교함으로써 그 성격을 드러내는 것은 「에로디아드」와 「목신의 오후」의 창작 시기가 그 출발지점에서 겹치면서 각각 시인의 겨울과 여름의 시작(詩作)의 대상이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에로디아드」는 그 창작 시기가 35년에 걸쳐져있으면서 시인의 시 세계, 그 처음과 끝을 장식하는 작품이면서, 그 어떤 작품보다도 말라르메의 시 세계를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에로디아드」 작품명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65년의 편지글에서이며(Corr220, 253), 말라르메에게 있어서 결정적인 순간, 즉 “네앙”의 발견도 이 시를 쓰다가 마주한 것이었으며(Corr297), 「주사위 던지기」 발표 이후, 시인이 몰두한 작품이 「에로디아드」였으며, 심지어 1898년 9월 8일에까지도 그 완성을 운명에게 바란 작품이 이 작품이다(“Hérodiade terminé s’il plaît au sort” Corr642). 이러한 「에로디아드」와 에로디아드로 「목신의 오후」와 목신을 읽음으로써, 본고는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말라르메의 시적 궁극에 대한 표현을 드러낼 것이며, 그럼에도 두 작품을 겨울의 냉기와 여름의 열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고의 「목신의 오후」 읽기는, 그 시적 효과에 대한 읽기가 아닌, 한편의 “정신의 연극”으로서 무대 위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를 -이해가능한 대상으로- 펼쳐놓는 독서에 치중될 것이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a pour l'objet de lire L'Après-midi d'un faune de Mallarmé dans Les Noces d'Hérodiade de Mallarmé. L'Après-midi d'un faune et Les Noces d'Hérodiade, ces deux oeuvres font Mallarmé 'un saisonnier'. Il a dit : “J’ai laissé Hérodiade pour les cruels hivers [...] cette oeuvre solitaire m’avait stérilisé, et, dans l’intervalle, je rime un intermède héroïque, dont le héros est un Faune.” On dit alors que L'Après-midi d'un faune est un contrepoint de Les Noces d'Hérodiade. Par exemple, le Faune se présente comme personnage qui incarne une caractéristique érotique, i. e. une couleur rouge, tandis qu'Hérodiade comme personnage qui incarne une caractéristique solitaire, i. e. une couleur blanche.
    Mais cette lecture va révéler que le Faune comme Hérodiade est un personnage qui tente d'arriver à un but poétique de Mallarmé, c'est-à-dire 'une reconnaissance de la sensibilité qui parvient à une Conception Pure'. Après le "Néant", l'oeuvre de Mallarmé doit se composer d'‘image du développement absolument nécessaire pour que l'Univers retrouve, en le poëte, son identité.' L'état spirituel de cet Univers s'identifie, selon Mallarmé, non seulement à une Conception Pure à laquelle il est arrivé par une sensibilité, mais également à la mort personnelle et spirituelle.
    La réalisation de but chez Mallarmé est absolument impossible. Mais dans la poésie, l'impossibilité de coexistence de l'être et de le non-être peut être surpassée. Et le poème L'Après-midi d'un faune, comme Les Noces d'Hérodiade, est un lieu fictif où les hymens du Faune ou les noces d'Hérodiade avec leur propre mort se réalisent. Mais dans l'oeuvre Les Noces d'Hérodiade, les images sont cristallisées dans les mots par lesquels Mallarmé a rencontré le vide, le Néant, dans l'oeuvre L'Après-midi d'un faune, les images sont diffusées à travers les longues histoires par le Faune. Ce que l'oeuvre L'Après-midi d'un faune a consolé le poète, cela tient à la puissance de racon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