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화의 카타르시스 : 장-바티스트 뒤보와 드니 디드로를 중심으로 (La catharsis dans la peinture : autour de Jean-Baptiste Dubos et Denis Diderot)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4.11
41P 미리보기
회화의 카타르시스 : 장-바티스트 뒤보와 드니 디드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고전문학연구 / 27권 / 217 ~ 257페이지
    · 저자명 : 이유경

    초록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 개념 해석의 복잡성을 파악하고, 이 개념을 연민과 두려움을 통한 역설적 쾌감의 발현으로 상정해 18세기의 두 작가 장-바티스트 뒤보와 드니 디드로의 회화 감상에 적용해보려는 시도이다. 기존의 카타르시스 개념은 주로 연극에 한정되어 논의되어왔으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 4장에서 언급한 시각적 고통을 통한 쾌감을 고려함으로써 이 개념을 회화까지 확장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계승한 뒤보는 1719년 『시와 회화에 관한 비판적 성찰』에서 시와 회화의 유사성 및 정념 전달의 목적을 강조하며, 서사를 가진 회화 속 인위적 정념이 불러일으키는 관객의 연민과 두려움을 통한 쾌감에 주목했다. 반면, 디드로는 『살롱』을 통해 부정적 정념을 유발하는 회화, 특히 장르의 위계를 넘어 서사성이 없는 베르네의 풍경화를 강조하고 그의 독창적인 글쓰기인 ‘베르네 산책’을 통해 독자가 회화적 카타르시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본 연구는 예술의 본질적 목적이 감정적 쾌감을 전달하는 데 있음을 토대로하여, 두 작가가 회화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연극을 넘어 회화 속에서도 카타르시스의 효과를 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예술 감상의 주체로서 관객의 역할과 그 미적 경험의 의미를 재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étend le concept de catharsis d’Aristote à l’appréciation de la peinture, en analysant comment la catharsis picturale se manifeste dans les œuvres de deux auteurs du XVIIIe siècle, Jean-Baptiste Dubos et Denis Diderot. En s'appuyant sur l'aphorisme d'Horace, Ut pictura poesis (la poésie est comme la peinture), elle examine les similitudes et les interactions entre la poésie et la peinture, tout en cherchant à élargir la notion de catharsis, jusque-là limitée au théâtre, au domaine de la peinture. Dubos, dans son ouvrage Réflexions critiques sur la poésie et la peinture (1719), suit la théorie aristotélicienne et met l’accent sur le plaisir paradoxal que l’art suscite chez le spectateur à travers la représentation des passions artificielles. Diderot, dans ses Salons (1759-1781), exalte la peinture émotionnelle, notamment le paysage, et permet aux lecteurs de vivre une expérience cathartique à travers son écriture créative. Il intensifie l'implication émotionnelle entre l'art et le spectateur, montrant comment l'âme de ce dernier peut être profondément troublée par l’art. Cette étude explore ainsi comment la catharsis se réalise dans la peinture et propose une réflexion sur l'objectif fondamental de l’art. De plus, elle cherche à offrir une nouvelle perspective sur la manière dont la catharsis permet à l'art d'harmoniser émotion et raison chez l'être humain. Enfin, elle réévalue le rôle du spectateur en tant que sujet de l’appréciation artistique et la signification de cette expé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