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뒤르케임과 지성인 (Durkheim and the Intellectu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8.11
25P 미리보기
뒤르케임과 지성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이론 / 34호 / 7 ~ 31페이지
    · 저자명 : 박영신

    초록

    이 글은 뒤르케임의 사회학이 그의 지성인다움과 뗄 수 없게 얽혀 있다는 논지를 펼친다. 먼저 내가 벨라를 통하여 뒤르케임의 사회학과 만났던 것과 뒤이어 그러한 사회학에 관심을 두어온 우리나라의 젊은 사회학자들을 만났던 것을 뒤돌아보면서, 뒤르케임의 사회학이 우리의 사회학에서 특별한 자리를 지켜왔다는 것을 새겨본다. 이어, 뒤르케임이 합리스런 ‘개인’ 중심의 인식론을 거부하고 ‘사회’ 중심의 인식론을 내놓을 때 그가 쓴 ‘사회’라는 말은 근본의 뜻에서 ‘도덕’이라고 이해한 점을 지적하여, 그가 어떻게 도덕성의 문제와 평생 씨름을 해왔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그가 독일에 잠시 머물고 있을 때 ‘전체성’을 강조한 독일 사회과학을 접하였으며 그 뒤에 가서야 주요 저작을 내놓기 시작했다는 점도 밝힌다. 이후 그가 추구한 도덕 사회학의 과제와 그 지향성 때문에 ‘드레퓌스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를 변호하기 위하여 연구실에서 뛰쳐나오지 않으면 안 되었다는 점을 논구한다. 여기서 뒤르케임의 사회학은 학문에 대한 헌신과 지성인된 의무감을 동시에 요청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학문 관심은 오랫동안 화해할 수 없다고 여긴 ‘학문’과 ‘참여’라는 두 세계를 연결하여 새로운 지성인의 유형을 만든 특유한 시도였다. 그의 탄생 150돌을 새기며 이 글은 오늘날 우리나라 사회학의 상황과 그와 이어진 지성 풍경을 성찰하며 마무리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Durkheim’s commitment to sociology is entwined with his intellectual struggle for the moral integration of Third Republic France. By looking back on my encounters with Durkheim’s sociology, through my intellectual connection to Bellah and later through meeting young Korean scholars of Durkheim during my teaching career, I show that Durkheim’s sociology has continued to be a distinctive part of sociological discourse in Korea. Turning to the formation of Durkheim’s own sociology to sketch how he came to focus on his lifelong struggle with morality by pointing out that what he meant by ‘social’ is ‘moral’ in a fundamental sense and that he rejected rational-individualistic epistemology. I note that he began producing major works only a few years after his sojourn in Germany where he had met its social science which tended to assert holistic strains. I move on to discuss the way that his sociology of morality led him to come out for the defense of Dreyfus, stressing that his sociology demanded simultaneously an academic commitment and intellectual obligation. Durkheim’s sociology was a unique attempt to bridge two worlds of scholarship and engagement with moral issues that have been long regarded as irreconcilable, and to formulate a new type of intellectual. In commemorating the sesquicentennial of the birth of Durkheim, I conclude this article with some reflections on Korean sociology and its intellectual landscape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