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둥족(侗族) 대가(大歌)의 문화지리학 (Cultural geography of Dong ethnic group’s Grand S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9.08
29P 미리보기
중국 둥족(侗族) 대가(大歌)의 문화지리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논총 / 40권 / 3호 / 43 ~ 71페이지
    · 저자명 : 허윤정

    초록

    본고는 2009년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항목으로 등재된 둥족(侗 族) 대가(大歌)를 비판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세계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된둥족 대가의 내용과 성격은 아래와 같은 점에서 중국의 입장을 반영하며 자체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다성부합창’이란 것을 강조함으로써 중국에 그것이 없다는 민족적 열등감을 해소하고 자존심을 회복하겠다는 건국 당시의 정치적 맥락을 여전히 수용하고 있다. 또 ‘다성부합창’ 즉 둥족의 대가를 문자 없이살아왔던 서남 지역 대부분의 소수민족이 그러하듯이 민족 고유의 지식과 문화전통을 잇기 위한 전형적인 도구로 규정함으로써, 그 지역적 특성을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기존 유네스코 및 중국 정부에서 바라보는 대가에 대한 인식과차별화하여 그를 실제로 향유하는 지역의 자연지리적 조건 및 문화경관, 역사적배경 등을 살펴보고, 사회적 맥락과 의미를 규명한다. 둥족 거주지의 남쪽 지역 사람들이 주로 즐기는 대가 가창문화는 둥족민 남녀 사이의 자유로운 연애 및족내혼 위주의 혼인문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또 가창 행위가 남둥의 사람들에게 사회 구성원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는 사회화 과정이자 행위임을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ritically deals with the Dong ethnic group’s Grand Song, which was listed as UNESCO's representati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9. The content and personality of the Dong ethnic group’s Grand Song which became the worl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flects China's position and has its own limitations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of all,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the above Grand Song is called a 'polyphonic chorus', Chinese government & UNESCO still accept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founding of China that it relieved national inferiority and regained pride in China.
    In addition, the minority group of the Southwest region which has lived without its own written language, defines its typicality as a tool to hand down traditional knowledge and culture. And it interfere with revealing its regional characteristic.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d natural geographic conditions, cultural landscap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identified social contexts and meanings based on the region whose people actually enjoy the Grand Song by differentiating in recognition on the Grand Song in the existing UNESCO and Chinese government.
    Songs and vocal cultures mainly enjoyed by people in the southern region of Dong ethnic group are based on free dating and endogamy among the Dong men and women.
    It also reveals that singing is a socialization process and an act that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embers of society in the southern region of Dong ethnic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