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평으로서의 영화, 영화적 주석(註釋)으로서의 메타시네마 ー정성일의 <녹차의 중력>과 <백두 번째 구름> 읽기 (Film as Critique, Metacinema as Cinematic Commentary -Read Seongil Jeong's and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05
28P 미리보기
비평으로서의 영화, 영화적 주석(註釋)으로서의 메타시네마 ー정성일의 &lt;녹차의 중력&gt;과 &lt;백두 번째 구름&gt;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53호 / 95 ~ 122페이지
    · 저자명 : 전성욱

    초록

    이 논문은 ‘문학 매체의 변용과 스토리텔링’이라는 관점에서 구상되었다. 비평이라는 전통적 글쓰기의 형식이 영화라는 시각 매체를 통해 구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임권택과 그의 영화세계를 다룬 정성일의 다큐멘터리 <녹차의 중력>과 <백 두 번째 구름>이다. 이 영화들을 ‘메타시네마’의 개념을 통해 필름으로 구현한 비평(임권택론)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구해보았다.
    정성일은 비평가로 활동하며 영화를 직접 연출한 감독이다. 그러나 그는 무엇보다 영화에 대한 진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해왔던 ‘시네필’이다. 그래서 그가 쓴 비평과 그가 연출한 영화에는 시네필의 ‘자의식’이 강렬하게 표출되어 있다. 정성일은 영화를 사랑하는 가장 적극적인 방식이 그 영화(대상 텍스트)가 제기하는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에게 영화의 존재론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 것이 임권택이라고 했다. 정성일은 임권택에 대한 작가론 단행본을 기획하였고, 방대한 분량의 인터뷰와 비평작업을 수행하였고, 마침내 영화라는 형식 그 자체로써 임권택의 영화가 제기하는 질문을 비평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
    정성일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서 수행하는 비평작업은 ‘자기 반영성’의 영화에 대한 고다르의 심오한 작업들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된다. 그에게서 영화는 단지 여러 예술 장르 중의 하나가 아니다. 정성일에게 영화는 어떤 존재론적 ‘물음’을 통해서 자기를 확인하는 실존적인 자기 증명의 매개체라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성일에게 고다르와 임권택은 그와 마찬가지로 강렬한 영화사랑을 바탕으로 실존적 자기 확인을 실천한 선배이자 선생이었다. 여기서 다룬 두 편의 영화 <녹차의 중력>과 <백두 번째 구름>은 메타시네마적 성찰이라는 고다르적 방법을 통해서 임권택의 영화 현장에서 얻어낸 존재론적 질문과 그 해답의 천착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그것을 시대사의 흐름이라는 통시적인 관점이 아니라 비평을 통한 실존적 성찰이라는 공시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비평적 ‘성찰’을 공부(工夫)와 교양(敎養)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배움과 깨달음의 학교로서의 ‘현장’에 대한 정성일의 뚜렷한 자의식을 확인한다. 그리고 그것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두 텍스트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 정성일이 필름을 통해서 수행한 비평으로서의 메타시네마적 특성과 의미가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영화라는 매체이지만 활자를 적극 활용한다든가, 인쇄 매체로 출간된 텍스트를 즐겨 인용하는 특징들이 드러난다. 그리고 연출의 현장을 엄밀하게 관찰함으로써 도출하는 영화에 대한 앎과 깨우침의 과정을 주관적인 감수성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메타시네마로서의 비평은 정성일이 글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표현할 수 없었던 ‘현장’의 생생함을 자기의 주관적 감성으로써 포착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submitted as one of the planned topics of 'Transformation of Literary Media and Storytelling'. The aspect of how the form of writing called criticism is realized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reviewed. The subject of review is <The Gravity of Green Tea> and <The Hundred Second Cloud>, a documentary by Jeong Seong-il, which deals with Im Kwon-taek and his film world. Through the concept of 'meta cinema', these films were analyzed as a critique and their meaning was explored.
    It is presumed that the critical work performed by Jeong Seong-il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greatly influenced by Godard's profound works on films of 'self-reflection'. As two teachers and pioneers who awakened Jung Sung-il to the most intense awareness of the ontology of cinema, we examine his influence on Godard and Im Kwon-taek. This thesis confirms Jung Sung-il's clear self-consciousness about the 'field' as a film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kung fu (工夫) and culture (敎養).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two texts dealt with in this paper was reviewed. In this part, the meta-cinema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 critique performed by Jung Sung-il through film were intensively discussed. Although it is a medium of film,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ly using type and quoting texts published in print media are reveal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knowing and awakening about the film derived by strictly observing the production site is expressed with subjective sensitivit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ritique as a meta-cinema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apturing and expressing the vividness of the 'fiel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writing through his subjective emo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남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