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어 취득세 과세 여부: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두57769 판결 (Impose Acquisition Tax on Sectional Co-ownership: Supreme Court 2011. 11. 11. decision, 2017du57769)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3.04
31P 미리보기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어 취득세 과세 여부: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두57769 판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세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세논집 / 10권 / 1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김다애, 서순성

    초록

    세법의 해석은 사법관계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기 때문에 세법과 사법간의 관계에서 가장 많이 문제되는 것이 사법상 거래행위의 적법・유효성과 이에 따른 과세 가능성에 대한 쟁점이다. 지방세법상 취득세는 민법상의 소유권 개념을 그대로 차용하지 않고 ‘취득’이라는 용어로 과세 대상 행위를 다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취득세의 대상인 소유권의 해석에 있어 사법관계의 법해석이 부여하는 제약이 있는지 문제되며, 이와 관련하여 일반건축물인 1개의 건물에 대하여 공유자들 간 소유권 취득 및 이에 따른 취득세 납세의무자가 문제가 된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두57769 판결을 검토한다.
    본 논문은 먼저 대상 판결의 주된 쟁점이 된 구분소유권의 개념에 대하여 일물일권주의의 예외로서 구분소유권의 의의를 검토한 후, 판례가 구분소유권의 성립요건으로 보고 있는 구분행위와 관련하여, 공시가 필요한지를 검토하였다. 이후, 취득세에서의 취득의 의미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차용개념, 세법의 해석에 있어 사법의 해석 문제를 검토하였고, 구체적으로 사법상 무효인 소유권 취득을 대상으로 취득세가 부과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필자는 결론적으로, 구분행위 인정에 있어 공시가 필요하지 않으며, 취득세법상 취득의 해석에 있어 사법상의 해석이 그대로 차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사실상의 취득 개념은 어디까지나 사법이 세법 해석에 있어 우위를 점한다는 입장에서 파악되어야 하고, 실질적 소유권과 형식적 소유권이 분리되는 경우에 한하여 취득세 납세의무를 가리려는 입장에서 규정된 것일 뿐, 사법상 인정되지 않는 소유권의 형식이나 물권의 성립까지 취득의 범위를 넓히려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대상 판결은 민사법 관계에서의 구분소유권에 대하여 판시한 후, 곧바로 취득세 부과처분이 적법한지 판단하였고, 취득세 부과처분 그 자체에 대하여는 설시하지 않았다. 이는 취득세의 과세 대상인 소유권을 사법관계에서 바로 차용하였고, 세법과 사법관계의 해석론에서 도출되는 차용개념에 따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설령 해당 판결에서 사실상의 취득 개념이 쟁점화 되었다 하더라도, 세법의 해석에 있어 사법이 우위를 점한다는 입장에서 고려하여 보면 해당 주장을 인정하기 힘들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interpretation of tax law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judicial relations, the biggest controversial topic with regards to the relations between tax law and judicial law is the legality and validity of judicial transactions and the possibility of relevant taxation. Under the Local Tax Act, acquisition tax does not directly borrow the concept of ownership under the Civil Act, but redefines the act subject to taxation with the term "acquisition". Therefore, there arises a question as to whether there exists a restriction imposed by the legal interpretation of judicial relat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ownership, which is the object of acquisition tax. In this regard, we reviewed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57769) decided on November 11th, 2021; the ruling deals with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and the decision of payer of acquisition tax among owners of a single building.
    We first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the sectional ownership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one-thing-to-one-right, which was the main issue of the case ruling. Then we reviewed whether public announcement is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sectional action that the precedent sees as a requir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sectional ownership. Afterwards, in order to review the meaning of acquisition in acquisition tax, the issue of judicial interpret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borrowing and tax law was reviewed, specifically, whether acquisition tax could be levied on ownership which is invalid under the law. We concluded that public announcement is not necessary in acknowledging the sectional action, and we determined that judicial interpretation could be used in the interpretation of acquisition under the acquisition tax.
    Furthermore, it should be that the concept of actual acquisition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judicial law takes priority over others when interpreting tax law. The actual acquisition is stipulated to determine the taxpayer when the subjects of actual ownership and legal ownership are disparate, and it is not intended to expand the scope of concept of acquisition that is not recognized by law.
    The Supreme Court Decision judged on the sectional ownership with regards to civil law, and the Court determined whether the disposition of acquisition tax was legal; the disposition of acquisition tax itself was neither judged nor explained. The absence of stipulation seems to be derived from its usage of the concept of acquisition, which is subject to acquisition tax, directly from judicial relations. And it judg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borrow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ax law and judicial relations. Even if the concept of practical acquisition had become an issue in the ruling,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acknowledge the claim in that the judicial law overrides the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