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운영상의 쟁점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두 야학을 중심으로 (An Ethnographic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Yahaks for the Disabled: Focused on Two Yahak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9.09
28P 미리보기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운영상의 쟁점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두 야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0권 / 3호 / 159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용욱, 하상근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운영상의 쟁점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특수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야학은 민중교육을 담당하며 110년 이상 이 땅에 존재해 왔다. 노들장애인야학과 질라라비장애인야학은 장애인 운동이 당사자주의로 전환하게 되던 시기에 장애인 운동 활동가들의 진보적인 운동의 축적과정에서 1993년과 2000년에 각각 설립되었다. 배움에 대한 끊임없는 열망으로 학업을 이어가던 중, 두 야학은 2001년 오이도역 사건을 계기로 장애인 이동권 운동을 전개하며 한국장애인 운동의 구심점으로 활동해 왔다. 이들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실시된 문화체험을 통해 지역사회와 법제도의 변화 등을 이끌어내며 새로운 삶을 꿈꾸는 공동체로 거듭나고자 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30여 개의 장애인 야학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들은 장애인 야학의 운영난 문제 해결 및 활로를 모색하기 위하여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를 결성하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거하여 평생교육 시설로의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그 명맥을 유지하면서 사회와 제도권 교육에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모색해 온 장애인 야학은 특수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특수교육의 제도적인 취약함을 드러낸다. 둘째, 학령기를 지난 장애성인을 위한 특수교육적인 노력이나 실천이 그동안 부족했다는 것을 반증한다. 셋째, 학생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관계를 맺고 교육이 가능하다는 희망과 함께 탈학교적인 상상력을 자극해준다.
    오늘날 우리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매우 부각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도권 교육에서 교육받을 기회를 갖지 못하고 성인으로 자란 장애인들이 가지는 배움과 삶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새로운 교육을 기획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장애인 야학의 일련의 교육활동과 노력은 그동안 학령기 장애인을 주요 대상으로 학교교육을 실시해 온 기존의 특수교육체제에 대해 그 외연과 전문성을 확장시킬 중요한 기회를 제공해 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major issues related to operation of Yahak for the disabled and to suggest their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Yahak have provided education to the grass-roots over 11 decades in our country. In movements for the disabled, the slogan “Nothing about us without us” became prevailing, and Nodle Yahak and Jillalabi Yahak for the disabled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in 1993 and 2000 when activists conducted a series of progressive movements for the disabled. Disabled people were eager for learning, and the two Yahaks played a central role in Korean movements for the disabled by conducting a campaign for disabled people’s right to mobility when the Oeido station incident took place. The Yahaks offered hands-on culture programs as part of their extra curriculum to step up the change of the legal system and local community, and tried to serve as communities that could create a new life. Currently, there are about 30 Yahaks for the disabled in our country, which organized the National Association of Yahak for the Disabled to find a way out of their operating difficulties and attempt to turn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under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Yahaks for the disabled have posed problems to our society and institutional education and sought after possible alternatives against all odds, and they have som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First, the existence of Yahaks is evidence of the institutional vulnerability of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haven’t been full-fledged effort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o disabled adults who are past the legal school age. Third, they offer hope for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place and make it possible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school.
    Today, we are living i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s highly emphasized. In the situation, it is an undeniable requirement to provide new programs and contents of education for meeting the desires to learn and lead a new lif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grown into adults with few opportunities even in public education. Yahak’s criticism of public education and their concept of alternative suggest challenging tasks to planning and practicing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which has educated school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until now, and provide important opportunities for expanding its denotation and expert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