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Practitioner who Participated in supporting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Childre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1.06
30P 미리보기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52권 / 52호 / 389 ~ 418페이지
    · 저자명 : 김예리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5년 이상의 지원 경력을 가진 서울시 여성장애인 홈헬퍼, 경기도 장애인맞춤형도우미, 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관리사 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참여자의 일정에 맞춰 개별 또는 소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 결과 ‘나를 거부하지만 또 너무 필요로 하는 가족’, ‘내겐 너무 낯설고 어려운 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된 어머니-자녀-나’,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바람’의 4가지 대주제와 1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적장애 어머니와 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첫 시도라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family members, having a purpose to figure out their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having supported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0, who are the home helpers of Seoul City with more than 5 years' supporting experience, the custom helpers of Gyeonggi-do Province,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it was condu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or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ir schedule. Every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ose were classified in 4 main-themes(family who denies me and needs me as well, the thing that is very strange and difficult to me, the mother-children-me which is changed as time goes by, wishes for providing the better support)and 14 sub-themes after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is the first meaningful attempt to seek an effective supporting method for the famil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ands-on workers involved in the supporting families having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