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小學』의 학습과 朝鮮의 다이글로시아 - 조선 후기 『小學諺解』의 相異한 두 筆寫本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glossia in Joseon Period Viewed on The Learning of Soha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9
30P 미리보기
『小學』의 학습과 朝鮮의 다이글로시아 - 조선 후기 『小學諺解』의 相異한 두 筆寫本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6권 / 3호 / 61 ~ 90페이지
    · 저자명 : 이영경

    초록

    이영경, 2018. 『소학』의 학습과 조선의 다이글로시아, 어문연구, 179 : 61~90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소학언해』의 두 필사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계층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소학』의 수용 양상 및 학습법, 그리고 그것이 드러내는 조선 사회의 다이글로시아의 실상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두 책은 모두 간본 『소학언해』를 저본으로 하되, 하나는 한문 원문이 대폭 축약된 것이고 또 하나는 언해문은 물론 원문도 모두 한글로 표기해 놓은 것으로, 본고에서는 전자를 ‘축약본’, 후자를 ‘순한글본’이라 하였다. 축약본은 구결 중심의 원문 축약과 학습자의 주석 첨기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소학』 원문의 정확하고 충실한 이해에 목표를 둔 사대부 계층의 『소학』 학습의 양상을, 반면 순한글본은 생활 속에서의 유교 가치관 및 규범 함양과 같은 실용적 목적을 위해 언해문만을 활용하여 내용을 쉽게 습득하고자 한 여성들의 『소학』 학습의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한자와 한문을 학습에 적극 활용하는 축약본과, 온전히 한글을 통해 내용을 수용하는 순한글본의 모습에서 한문과 언문의 위계적 사용이라는 조선 사회의 다이글로시아의 실상이 여실히 드러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examines empirically the learning methods of Sohak (Elementary learning) which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la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manuscripts of the Sohak-eonhae (Korean Translation of Sohak) transcribed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printed version of Sohak-eonhae published in 1588. With these comparison and analysis, I show the reality of diglossia in the late Joseon society.
    The two manuscripts Sohak-eonhae are all written in Korean alphabet, Hangeul, which are transcribed from the same printed version. The one is the ‘retrenched version’ by retrenching many of the Chinese original text, the other is the ’Hangeul version’ written only with Korean alphabet by inscribing all the Chinese original texts with Hangeul. The retrenched version shows the pattern of learning Sohak of literati class that aimed ultimately at the accurate and faithful understanding and studying of the original Sohak text through the method of retrenchment of the original sentences, learner's conciliation, and adding annotation arbitrarily. On the other hand, the Hangeul version shows the practical purpose of the women who wanted to acquire contents of Confucian values ​​and cultivation of norms in the daily life with the learning Sohak-eonhae easily by using the vernacular sentences written only with Korean alphabet rather than academic acceptance of Sohak studies. In addition, the literati class seeks to learn deeply about the original text of Sohak by actively utilizing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sentences that are familiar to them, while women accepted Confucian contents of value in their lives using ‘their sole character Hangeul’. This show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of hierarchical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Eonmun Hangeul, that is to say, the shape of diglossia in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