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Mental Illness Parent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9권 / 24호 / 231 ~ 252페이지
    · 저자명 : 임숙빈, 허명륜

    초록

    본 연구는 취약한 환경에 놓인 정신질환자 자녀의 내적 힘인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 8명이었고, 프로그램은 매회 2시간씩 총 1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세부 지침을 매뉴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을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적용하였고, 그 효과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을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이용해 프로그램 전후에 측정하였고, 비모수 통계인 Wilcoxon Sign-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자가 매회기 작성한 아동의 행동관찰일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행복감은 상승하였고, 회복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행동관찰일지 분석 결과 프로그램 중반 이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해서 또래와 어울리는 즐거움을 표현하고, 어른과 신뢰관계를 맺는 행동을 보임에 따라 향상된 자신감을 나타내고 가족이나 외부 환경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을 증진 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상자 모집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대상자 범주를 지역사회 취약계층 아동으로 확대하고, 프로그램의 반복 운영을 통해 결과를 재확인하여 확대 발전시켜 나갈 것을 제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co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children with mentally ill parents. The subjects were eigh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y consisted of a single-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The program constructed activities based on a component of resilience, and resources like people and goods for operation. The program had 12 sessions from December 2017-February 2018. The program’s effect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children’s resilience and happiness. The analysis used the Wilcoxon Sign-Rank test. Additionally, a mixed method of projective picture test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Statistically, children’s happiness increased, and resilienc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from the behavior observation and picture analysis of the children,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the family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were improved through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hips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based on trust with adults.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silience and happiness of children with mental illnes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program should be repeatedly operated to expand and develop it further for vulnerable children in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