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축신고와 법해석의 한계 - 대상판결: 대법원 2023. 9. 21. 선고 2022두31143 판결 - (Building reports and limitations on legal Interpretation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4.02
40P 미리보기
건축신고와 법해석의 한계 - 대상판결: 대법원 2023. 9. 21. 선고 2022두31143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5권 / 1호 / 43 ~ 82페이지
    · 저자명 : 우미형

    초록

    수리를 요하는 신고와 자기완결적 신고, 그리고 필수적 의제와 절차간소화 의제를 포함하는 인허가 의제와 관련하여 아직까지 정리되지 못한법리와 이를 둘러싼 학계의 논쟁은 우리나라 고유의 문제 상황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비교법적 예를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국토계획법상 개발행위허가가 의제되는 건축신고에 대해 건축신고와 건축허가에 대한 기존법리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의 문제는 이와 같이 어려운 두 개의 쟁점이교차하는 지점이다. 궁극적으로는 관계 법률의 개정을 통해 해결되어야할 문제이므로 어느 해석방안을 채택한다고 하더라도 적지 않은 비판의대상이 될 것이지만, 이러한 때일수록 법원은 ‘법해석’의 기본원칙을 충실히 준수해야 한다.
    대상판결인 대법원 2023. 9. 21. 선고 2022두31143 판결에서는 (절차적의제에 해당하는) 토지형질변경허가가 의제되는 건축신고의 취소 가능성이 일차적 쟁점이 되고 있지만,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 쟁점은 건축허가의 필수적 의제에 관한 대법원 2020. 7. 23. 선고 2019두31839 판결의 법리를 건축신고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건축허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건축신고에 대해 개발행위허가(건축물의 허가)가필수적으로 의제된다고 하면 결과적으로 건축허가의 개발행위허가(건축물의 건축) 요건과 건축신고의 개발행위허가(건축물의 건축) 요건이 동일해지고, 이 둘에 대한 행정청의 재량의 범위가 같아져서 건축법상 허가와신고로 구별하여 규율한 입법자의 취지가 몰각된다. 원심판결은 이 사건우사가 건축허가 대상이라는 원고들의 주장을 기각하면서 이 사건 우사는 건축신고의 대상이라고 보면서도, 건축신고 절차에서 국토계획법상개발행위허가가 동시에 심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 결과 이 사건 우사에 대한 건축신고는 건축허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고 행정청의 광범위한 재량판단의 대상이 되었다. 과연 건축허가 시 개발행위허가로서의건축물의 건축허가가 필수적으로 의제되도록 법해석을 한 대법원 2020.
    7. 23. 선고 2019두31839 판결의 법리를 문언해석에 기초하여 건축신고에 대한 이 사건 처분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가. 이 문제가 대상판결에서판단되지 않은 첫 번째 상고이유의 필요적 전제이자 이 글의 핵심쟁점이다.
    국토계획법 개발행위허가(건축물의 건축)가 필수적으로 의제되도록 설계된 건축법상 건축신고 수리는 대표적인 은폐된 규제완화 내지 규제완화의 효과가 없는 외견적 규제완화이다. 애당초 입법이 잘 못 되었지만, 그러한 입법을 20년 가까이 방치한 데에는 법원의 책임도 적지 않다. 특히 대상판결에서는 두 번째 상고이유에 대해서 대법원 2020. 7. 23. 선고2019두31839 판결의 법리를 그대로 인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아무런 고민 없이 건축신고와 건축허가를 동일선상에 두고 판단하면서, 첫 번째 상고이유에 대해서는 건축신고와 국토계획법상 개발행위허가(건축물의 건축)의 관계를 밝힐 수 있었음에도 판단하지 않았다. 대상판결의 사안은모순된 법규정이 충돌하는 ‘건축신고 규정’의 입법적 개선을 위한 촉매제가 될 수 있었으나, 대법원은 아쉽게도 스스로 그 기회를 놓쳤다.

    영어초록

    The unresolved jurisprudence and the academic debate surrounding the building permit agenda and the essential and simplified legal fiction are unique to Korea,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act comparative legal example. The question of whether to apply the existing jurisprudence on building permits to building reports that are subject to development activity permits under the Land Planning Act is the intersection of these two difficult issues. Ultimately, it is a matter to be resolv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relevant laws, so no matter which interpretation is adopted, it will be subject to a great deal of criticism, but at such times, the court must faithfully comply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statutory interpretation.
    In the subject Supreme Court case the primary issue is the revocability of a building permit (which falls under the procedural fiction), but the main issue to be addressed in this article is whether the preceding Supreme Court Decision dated July 23, 2020, regarding the essential fiction of a building permit, can be applied to a building permit. As in the case of a building permit, if a development activity permit (permit for a building) is mandatory for a building report, the result is that the development activity permit (construction of a building) requirement of a building permit and the development activity permit (construction of a building) requirement of a building report are the same, and the scope of the administrative agency's discretion over the two is the same, which defeats the legislator’s purpose of distinguishing between permits and reports under the Building Act. The original judgment rejected the plaintiffs' claim that the cattle shed in this case was subject to a building permit and held that it was subject to a building notification, but held that the development activity permit under the Land Planning Act should be examined at the same time in the building notification process, and as a result, the building notification for the cattle shed in this case was subject to a wide range of discretionary judgment by the defendant administrative agency, just like the building permit. Whether the preceding Supreme Court's ruling, which interpreted the law to require a building permit for a building as a development activity permit, can be applied to the disposition of this case on a building application based on a literal interpretation is the premise and core issue of the first ground of appeal that was not determined in the target decision.
    The acceptance of a building report under the Building Act, which is designed to make a development activity permit (construction of a building) mandatory, is a classic case of concealed deregulation or apparent deregulation without the effect of deregulation. While the legislation was poorly drafted in the first place, the courts are no less to blame for allowing it to stand for nearly two decades. In particular, the target judgment judged the second ground of appeal as the same as the building report and the building permit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preceding Supreme Court's judgment could be cited as such, and did not judge the first ground of appeal even though it could have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ding report and the development activity permit (construction of a building) under the Land Planning Act. As a result, the target judgment unfortunately missed a good opportunity to be a catalyst for legislative impr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