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주망명인을 둔 寒洲宗宅 宗婦의 가사문학 -<感懷歌>와 <별한가>- (Gasa of Hanju Head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who had an Exile in Manchuria - and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만주망명인을 둔 寒洲宗宅 宗婦의 가사문학 -&lt;感懷歌&gt;와 &lt;별한가&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0호 / 91 ~ 122페이지
    · 저자명 : 고순희

    초록

    <감회가>와 <별한가>는 동일 여성이 쓴 가사이다. 이 논문은 두 가사의 작품론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먼저 작가의 생애를 구체적으로 재구성했다. 작가는 全義李氏(1855~1922)로 李彦會와 星州李氏 사이에서 장녀로 태어났다. 19살 때 재혼하는 독립운동가 韓溪 李承熙(1847~1916)와 결혼함으로써 한주종택의 종부가 되었으며, 이후 1녀 2남을 낳고 살았다. 그런데 을미사변 이후 남편은 抗日운동에 앞장 서기 시작했다. 급기야 남편이 1908년에 블라디보스톡을 거쳐 만주로 망명하자 막내아들도 부친을 돕기 위해 만주로 건너갔다. 이 때 작가는 두 가사를 지어 남편과 막내아들을 그리워하며 자신의 처지를 한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의미 파악이 쉽지 않은 서술 내용을 사실적으로 고증했다.
    3장에서는 두 가사의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1) ‘그리움과 한탄의 중첩적 서정’을 통해 신변탄식류 가사로서의 양상과 특징을 살폈다. ‘그리움’과 ‘한탄’의 서정이 반복․중첩되는 가운데, ‘그리움’이 ‘병’이 된 심적 상태를 보여준다. 2) ‘여성인식’에서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며 드러낸 작가의 여성 인식을 살폈다. 작가는 어디든 갈 수 있는 자유를 욕망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했으므로 사후에라도 남자로 환생하고 싶어 하는 비극적 인식을 지닌다. 그리고 3) ‘만주망명자를 둔 고국인의 민족의식’에서는 독립운동가 아내로서의 민족의식과 그 특징을 살폈다. 일제의 폭압으로 민족의 역사가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한 여성이 민족과 개인,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두 축 사이에서 갈등하고 화해하는 양상을 반영한다.
    마지막 4장에서는 두 가사의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살폈다. 두 가사는 19세기 신변탄식류 가사의 전통을 이어받아 근대기의 역사와 삶을 수용함으로써 근대기 가사문학의 지속과 변용 양상을 작품 안에 구현한 전형적인 작품이라는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Gamhoega> and <Byeolhanga> belong to Gasa written by the same woman. This paper aims for a work review of these two Gasa.
    In Chapter Ⅱ, this study re-composed the author's life in more detail. The author belongs to the Lees of Jeonui [1855~1922]and born as the first daughter to Lee, Eon-hyeo and the Lees of Seongju. The author became the first daughter-in-law of Hanju head family clan by marrying Lee, Seung-hee[1847~1916] who was once married and an activist for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fter marriage, they lived having one daughter and two sons. In the meanwhile, her husband began to be in the forefront of anti-Japanese movement after the Eulmi Incident. As her husband exiled to Manchuria via Vladivostok after all, her youngest son also went to Manchuria with the aim of assisting his father with his movement. Then, the author lamented her fate missing her husband and son by writing two Gasa.
    Next, her Gasa content includes some phrases or statement blocking off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her works. Thus, this study did historical research such parts realistically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world of her works.
    In Chapter Ⅲ,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world of these two Gasa.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 as hard-luck story Gasa through 'the superimposed lyricism of longing and lamentation.' Her works show her mental state in which her 'longing' becomes a 'disease' amid the reiteration and superimposition of 'longing' and 'lamentation.'Second, in 'female perception',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author's female perception which the author exposed while lamenting a woman's circumstances.
    The author desired freedom go anywhere as she pleased, and thus assumed a tragic perception of wanting to be reincarnated as a man after death. In addition, third, in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a homeland resident who have an exile in Manchuria", this study looked at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haracteristic as a wife of an activist for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 author reflected the aspect of a woman's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axes. i.e. a nation and individual, and man and woman in the circumstance where a nation's history is in a crisis due to the Japanese Empire's oppression.
    In last Chapter Ⅳ,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se two Gasa from the viewpoint of Gasa literature history. These two Gasa accepted the history and life in the modern period by taking over the tradition of the 19th century hard-luck-story Gasa. Therefore, these works have a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Gasa literature history in that they are the typical works embodying the aspects of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 of Gasa literature in the modern period in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