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개혁운동과 숲속수행 전통:12세기 승가정화에서부터 두 개혁 종단의 설립까지 (Buddhist Reform Movements and Forest Monk Tradition:From the Twelfth century’s Purification of the Saṅgha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wo Reformist Fraterniti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09
22P 미리보기
불교개혁운동과 숲속수행 전통:12세기 승가정화에서부터 두 개혁 종단의 설립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3호 / 357 ~ 378페이지
    · 저자명 : 김한상

    초록

    이 논문은 숲속수행 전통이 스리랑카의 불교개혁운동에 기여한 바를 살펴보고, 그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한다. 스리랑카의 숲속수행 전통은 붓다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서기 6세기나 7세기에 비로소 독자적인 그룹으로서 언급되기 시작한다. 숲속 승려들은 『쭐라왐사(Cūḷavaṃsa)』의 저자에 의해 크게 칭송되며, 왕실의 열렬한 후원을 받았다. 숲속 승려들의 성장과 인기는 그 당시 세속화된 교단에 대한 반작용을 반영할 것이다. 빠라끄라마바후 1세(Parākramabāhu I)는 마하위하라(Mahāvihāra)에 속한 딤불라갈라(Dimbulāgala)의 숲속 승려들의 지도자인 마하깟사빠(Mahākassapa)의 지도로 승가정화를 시작한다. 이는 아마도 왕이 숲속 승려들이 종교생활의 이상에 가장 가까운 승려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18세기 왈리위따 사라난까라(Vӓliviṭa Saraṇaṃkara)의 실라왓 사마가마(Silavat Sāmagama)는 숲속수행 전통의 생명력과 역동성을 알리는 신호였다. 그는 율장의 규정들에 대한 엄수와 두타행(頭陀行, dutaṅga)에 대한 강조를 통해서 전 생애에 걸쳐 숲속 승려의 이상을 추구하였다. 19세기에 설립된 아마라푸라 니까야(Amarapura Nikāya)와 라만냐 니까야(Rāmañña Nikāya)는 율장의 규정들에 대한 엄수로 돌아갈 것을 호소하였고 숲속수행 전통의 신앙심과 수행에 새로운 활력을 주었다. 이와 같이 숲속 승려들과 숲속 승려들의 이상에 공감하는 승려들은 교단이 세속화되었을 때 초기불교의 이상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면서, 과감히 불교개혁에 뛰어들었다. 숲속 승려가 초기불교의 이상적 승려상으로 계속해서 간주되는 한, 스리랑카 불교의 미래는 어둡지 않다. 왜냐하면, 스리랑카 불교의 한 특징인, 주기적으로 초기불교의 숲속수행 이상을 재확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resent paper examines how forest monk tradition contributed to the Buddhist reform movements in Sri Lanka and presents its future vision. Sri Lanka’s forest monk tradition can be date back to the time of the Buddha, but it is from about 6th or 7th century A.C., that forest monks (araññaka) are referred to as a distinctive group. They were held in very high esteem by the author of the Cūḷavaṃsa, and benefited from the zealous patronage of Sinhalsese kings. The growth and popularity of forest monks may reflect a reaction to te secularized saṅgha in those days. King Parākramabāhu I led the monastic reforms under the leadership of Mahākassapa, a leader of araññakas from Dimbulāgala belongs to the Mahāvihāra fraternity. It is quite likely that to the king the araññaka represents the closest approximation to the ideal of religious life. Silavat Sāmagama initiated by Vӓliviṭa Saraṇaṃkara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was an another sign of the vitality of forest monk tradition on the island. He espoused early Buddhism’s ideal of forest-dwelling monk throughout his life by insisting on monastic discipline and austere practice (dutaṅga). Eighteen century’s two reformist fraternities, Amarapura Nikāya and Rāmañña Nikāya advocated a return to strict observance of the monastic discipline and helped revitalize the forest monk tradition of Buddhist piety and spiritual practice. In this way, the forest monks and monks who aspire early Buddhism’s ascetic ideal wield a strong influence on the monastic reform movements, claiming to be returning to the original Buddhism. As long as forest monks continued to be seen as exemplifying the paradigmatic ideal of striving to attain liberation, the future of Sri Lankan Buddhism will not be so pessimistic because the periodic attempt to re-establish early Buddhism’s ascetic ideal, which is one of the defining features of Sri Lankan Buddhism, will be countiu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