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중적 평등의 자유 혹은 개성적 차이의 자유 - 유신기 시 비평의 두 경향 - (The freedom of multiple equality or the freedom of individual difference ― Two tendencies of poetic criticism during the period of Yusi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02
43P 미리보기
다중적 평등의 자유 혹은 개성적 차이의 자유 - 유신기 시 비평의 두 경향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8호 / 27 ~ 69페이지
    · 저자명 : 최현식

    초록

    이 글은 유신기 시 비평을 민주주의적 가치와 의미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창작과비평』 및 『문학과지성』은 파시즘의 확산에 맞서 문학의 정치성과 자율성을 확장하기 위한 투쟁을 부단히 수행했다. 나는 이것을 단순히 체제 변혁의 관점보다는 하위주체가 자신들의 은폐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재구성하는 본원적 실존의 기획으로 파악한다. 이를 위해 먼저 ‘창비’와 ‘문지’의 언어의식에 주목하였다. 창비파는 하위주체들의 생활어, 다시 말해 ‘민중언어’를 해방의 언어이자 ‘더 나은 삶’의 자연어로 동시에 전유하였다. 이런 문학적 실천은 백낙청 등의 비평적 전언과 시인들의 민중언어의 구현이 서로를 포괄하고 종합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런 만큼 민중정서의 개성적 점묘보다는 사회변혁을 위한 집단적 파토스의 재현이 중요했다. 이에 반해 문지파는 방법적 언어의 실천에 중심을 두었다. 김현은 주체와 대상의 관계성 및 차이성에 대한 동시적 표현을 감싸 안음의 미학으로 명제화했다. 다음으로 ‘민중언어’와 ‘방법적 언어’가 실천되고 의미화 되는 방식을 『창작과비평』 및 『문학과지성』에 실린 시비평을 중심으로 계보화 하였다. 여기서는 단순히 창비파와 문지파의 이념과 개성을 재확인하기보다, 비평적 실천이 해당 미학적 집단의 이념과 언어 지향을 구체화하고 설파하는 정치적 행위의 일종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런 시대정신의 활달함과 조망의 넓이를 보다 확장하기 위해 유종호의 교양주의와 김우창의 심미적 이성에 대한 검토를 결론으로 삼았다. ‘다중적 평등의 자유 혹은 개성적 차이의 자유’라는 본고의 제목은 유신기 시비평이 미래에 성취할 미학적 가치와 목표의 바탕이 되었음을 드러내기 위해 선택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poetic criticism in the period of Yusin (the 1970’s) from the aspects of democratic value and significance. Both Changjakkwabipyung and Munhakkwajisung have performed restless struggles to expand literary politicity and autonomy confronting the propagation of fascism. This researcher regards this not simply with the perspective systemic revolution but as the planning of primary existence for subordinate subjects to reconstruct their concealed meaning and value of life. For this,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consciousness of language of both ‘Changjakkwabipyung’ and ‘Munhakkwajisung’ first. The ‘CHANGBI school’ exclusively possesses the language for life of subordinate subjects, that is, the ‘folklore language’ as natural language for ‘better life’ as well as language for liberation. This literary practice was performed in a way that the critical messages of those including Baek, Nak Cheong and the poets’ realization of folklore language include and synthesize each other. Thus, it was more crucial to reproduce collective pathos for social revolution rather than to do individual depiction of folklore emotion. Meanwhile, the ‘Munhakkwajisung school’ was focused on practicing methodological language. Kim, Hyeon made a proposition with the aesthetics to embrace simultaneous express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of the subject and object. Next, this study devised the pedigree of the way to practice and signify ‘folklore language’ and ‘methodological language’ centering around poetic criticism published in Changjakkwabipyung and Munhakkwajisung. Here,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critical practice is a kind of political behavior to concretize and elucidate the ideological and linguistic pursuit of the proper aesthetic group rather than simply to reexamine the ideology and individuality of the ‘Changjakkwabipyung schools’ and ‘Munhakkwajisung schools’. In order to increase the activeness of that periodic spirit and the width of the prospect, this study takes as its conclusion the examination on Ryu, Jong Ho’s culturalism and Kim, Woo Chang’s aesthetic reason. The subject of this article, ‘The freedom of multiple equality or the freedom of individual difference’ was chosen so as to show that poetic criticism in the period of Yusin was based on the aesthetic value and goal to be achiev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