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초기 칭기스항 수용의 두 모습 ―한국 근대문학과 몽골 1 (Two Types of Genghis Khan in the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1.06
21P 미리보기
근대 초기 칭기스항 수용의 두 모습 ―한국 근대문학과 몽골 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5호 / 189 ~ 209페이지
    · 저자명 : 박태일

    초록

    칭기스항은 몽골을 대표하는 표상이다. 이 글은 한국 근대 초기문학 속에 나타나는 칭기스항의 모습 구명을 목표로 삼았다.
    첫째, 한국 근대 처음 칭기스항 담론은 1895년에 나온 최초 국정 교과서 <國民小學讀本>에 실린 「成吉思汗」이다. 그리고 이것은 1921년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낸 낱책 <成吉思汗>으로 이어진다. 둘째, 서양 제국의 막강한 힘 앞에 위기를 맞고 있었던 동양과 조선이 본받을 위인이 칭기스항이다. <國民小學讀本> 「成吉思汗」에서는 조선의 옛 기록에 뿌리를 둔 칭기스항 조선인 출신설과 근대 들어 나타난 칭기스항 일본인 출신설을 맞세워, 일본과 우리 사이 민족 경계를 뚜렷히 했다. 셋째, <成吉思汗>은 칭기스항 수용에 있어 당대 일본 쪽 원천 텍스트의 일방적인 영향관계만 두드러졌다. 大田三郞의 <成吉思汗>(1901)과 阪井重季․猪狩又藏의 <成吉思汗>(1915)이 그것이다. 한성판 <成吉思汗>은 이 둘의 체제와 내용을 고스란히 가져와 펴낸 것이다. 이러한 일방적 수용 관계는 그 뒤 우리 사회의 칭기스항 담론 재생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넷째, <國民小學讀本> 속에 담긴 바, 칭기스항 수용에 나타났던 우리와 일본, 동양 두 나라 사이 담론 경계는 1920년대 한성본 <成吉思汗>에 이르러서는 사라지고 말았다.
    그 뒤부터 우리의 칭기스항 담론은 일본 쪽의 일방적인 영향관계와 그것을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 사이 긴장을 짐으로 지게 되었다.

    영어초록

    Genghis Khan is the symbol of Mongolia. This thesis aims at defining Genghis Khan’s image in the Korean early modern literature. Through this work, I hope that the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Mongolia becomes deeper.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discussion.
    First, the initial discourse of Genghis Khan in Korean modern period was 「Sungilsahan(成吉思汗)」 in Gookminsohakdokbon(國民小學讀本) which is the first national textbook published in 1895. And this continues to Sungilsahan(成吉思汗) which was published by Han-sung publishing company in 1921.
    Second, although the appearance of Gookminsohakdokbon is traditional, its content is modern. 「Sungilsahan」 is in chapter 41 and 42 in the book. Genghis Khan is one of the greatest men in the east. And he was the one who reserved to be respected by oriental and Korean students who were in crisis of facing enormous power of the Western. At the same time, the conflict between the ‘Korea originated Genghis Khan theory’ and ‘Japan originated Genghis Khan theory’ clarified the national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Third, Sungilsahan is one of the biography series. Contrary to the 「Sungilsahan」 in Gookminsohakdokbon which had clear boundary of discourse, Japanese text only emphasized on one-sided impact relation in the discourse of Genghis Khan. The examples are Sungilsahan(成吉思汗) by Ota Saburo(大田三郞) in 1901 and Sungilsahan(成吉思汗) by Sakai Shigesue(阪井重季) & ikari matazou(猪狩又藏) in 1915. Sungilsahan is the text published by copying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 above two. This kind of one-sided acceptive relationship played a critical role in reproduction of discourse of Genghis Khan for a long time.
    Fourth, 「Sungilsahan」 in Gookminsohakdokbon and Sungilsahan in Han-sung published Text occupy the first place in the discourse of Genghis Khan. The difference in accepting Genghis Khan between the two oriental countries, Korea and Japan, represented in Gookminsohakdokbon, has been disappeared in Sungilsahan in Han-sung published Text, 1920. Since then, the discourse of Genghis Khan in Korea has been suffered from tension between Japanese one-sided acceptive relationship and the effort to escape from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4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