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영어 어법 발달 고찰: 두 학생의 구술 사례 연구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 of English grammar: A case study of two children’s descriptive narra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1.12
24P 미리보기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영어 어법 발달 고찰: 두 학생의 구술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초등영어교육 / 17권 / 3호 / 67 ~ 90페이지
    · 저자명 : 이인

    초록

    It has been 15 years since we implemented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o figure out how we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describe a picture book with no written texts in English,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ntaneous utterances collected in 2009 were analyzed in Lee(2010). The language informants were two third graders and one sixth grader. As a follow-up study of Lee(2010), two fourth graders’ spontaneous utterances were collected for three month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0. The same procedures of data collection were followed. From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e can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i) the ‘NPSUBJ is + V’ construction was commonly observed in the early data of both informants’ spontaneous utterances; (ii) both informants produced the ‘present progressive’ construction first, and then irregular verbs in past tense and verbs with a 3rd person present morpheme; (iii) the subject-verb agreement rule was not observed; (iv) if a learner produced the 3rd person present morpheme, the plural morpheme in nouns was also observed in her data; and (v) if a learner had difficulty describing a given scene, she used a set phrase pragmatically appropriate to the scene instead of describing it.

    영어초록

    It has been 15 years since we implemented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o figure out how we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describe a picture book with no written texts in English,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ntaneous utterances collected in 2009 were analyzed in Lee(2010). The language informants were two third graders and one sixth grader. As a follow-up study of Lee(2010), two fourth graders’ spontaneous utterances were collected for three month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0. The same procedures of data collection were followed. From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e can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i) the ‘NPSUBJ is + V’ construction was commonly observed in the early data of both informants’ spontaneous utterances; (ii) both informants produced the ‘present progressive’ construction first, and then irregular verbs in past tense and verbs with a 3rd person present morpheme; (iii) the subject-verb agreement rule was not observed; (iv) if a learner produced the 3rd person present morpheme, the plural morpheme in nouns was also observed in her data; and (v) if a learner had difficulty describing a given scene, she used a set phrase pragmatically appropriate to the scene instead of describing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